X

미끼 물면 '탈탈'…보이스피싱 '창과 방패' 싸움 팽팽

이소현 기자I 2023.05.03 16:34:09

경찰, 금감원·검사 등 기관사칭형 피싱 주의보
올해 1~3월 기관사칭형 피해 비중 60% 달해
'해외직구·택배 미수령' 미끼로 활용 후 기관 사칭
'착신전환' 신종 피싱 등장…'악성 앱' 설치 유의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경찰이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수사를 강화하고 나서자 일당의 범죄 수법도 다변화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3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따르면 보이스피싱 피해의 70~80%를 차지하던 대출사기형은 급감한 대신 최근 검사·금융감독원 등 기관사칭형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올해 3월까지 경찰이 접수한 보이스피싱 사건 중 대출사기형은 1692건으로 전년동기(3752건) 대비 55% 줄어든 반면 기관사칭형은 2587건으로 전년동기(2109건) 대비 23% 늘었다. 비중도 역전돼 기관사칭형은 대세가 됐다. 기관사칭형은 비중은 올해 1~3월 60%로 전년동기(36%)대비 1.6배 증가했다. 이에 보이스피싱 범죄를 막으려는 경찰과 뚫으려는 범인들의 ‘창과 방패’ 싸움이 팽팽해지고 있다.

결제사칭, 허위계좌발급, 택배사칭, 청첩장 사칭 등 보이스피싱 대표 미끼문자 (자료=경찰청)
특히 기관사칭형 수법은 범인이 피해자 개인정보를 알고 처음부터 전화로 접근하는 사례도 있지만, 최근엔 대출사기형처럼 ‘미끼문자’를 불특정 다수에게 뿌리고 회신하게 해서 접근하고 있다.

실제 ‘해외직구 결제 63만9900원 결제 완료, 아닐 시 고객센터 신고 070’ 내용의 문자를 받은 A씨는 놀란 마음에 고객센터로 전화를 걸었더니 결제를 취소하려면 자산보호 신청해야 하니 금융감독원 전화를 기다리라고 했다. 몇 분 지나지 않아 금감원 대표번호 ‘1332’로 전화가 걸려 왔고 A씨의 명의로 정지된 계좌가 있는데 마약범죄에 활용됐다며, 담당 검사의 번호를 알려줬다. 해당 번호로 전화하자 검사는 강압적인 목소리로 공범으로 몰더니 계좌확인서 발급 절차를 따르라고 하며, 이렇게 알아낸 개인정보를 활용해 자금을 몽땅 털어갔다.

이러한 미끼문자 수법은 해외쇼핑뿐 아니라 은행 계좌 신규개설 또는 지급정지, 결혼청첩장, 택배 미수령 확인 요망 등 다양하다.

또 전화번호를 ‘착신전환’하는 신종 수법도 등장해 주의가 요구된다. KT지점을 사칭한 범인은 모 재개발 조합 사무실에 “대형화재가 나서 통신상태가 불량하다”며 “불러주는 인터넷 전화번호로 착신전화해서 사용하라”고 했다. 그러자 아파트 옵션비, 분담금 문의 등 조합에 걸려온 전화를 범인이 가로채 받아 일당의 계좌번호로 자금을 보내게 해 이를 몽땅 편취했다.

경찰은 휴대전화를 원격조정할 수 있는 악성 앱의 위험성을 강하게 경고했다. 경찰 관계자는 “피해자가 어디에 전화해도 범인들이 당겨 받는 ‘강수강발’ 시스템으로 범인이 거는 전화는 검찰, 경찰, 금감원 등 정상적인 번호로 표시돼 피해자가 속아 넘어갈 수밖에 없다”며 “피해자 위치 정보나 휴대전화 녹음 기능까지 강제로 구동해 지시를 따르는지 감시도 한다”고 전했다.

최근 범죄 수법이 지능화되면서 이러한 악성 앱의 위험성을 모르면 누구든지 당할 수밖에 없다. 경찰관계자는 “보이스피싱은 경찰공무원, 교수·교사, 변호사, 의사, 연구원 등 거의 모든 직업군에서 피해당한 사례가 있고, 20대부터 70대 이상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피해가 발생한다”며 “모르는 문자나 카카오톡 링크는 절대 누르지 말고, 악성 앱이 감염된 전화는 사용하면 안 되니 반드시 다른 사람의 전화를 사용하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