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위험한 거래' 노골화…"美, 왜 가르치려 드나"(종합)

김정남 기자I 2023.09.14 19:16:24

푸틴 "안보리 제재 틀 내에서 北과 협력 가능"
2차 제재 우려한듯…속내는 '위험한 거래' 의지
러, 美 비난 "단극 체제 불가능…제재 버려야"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과의 ‘위험한 거래’를 노골화했다. 북러 군사기술 협력을 두고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를 깨지 않고 협력이 가능하다는 취지로 언급했다. 북러 정상회담을 계기로 안보리 존립 근거가 무너질 수 있다는 국제사회의 거센 비판을 의식한 언급으로 보이지만, 결국 속내는 북한과 계속 밀착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만나 정상회담 직전 대화하고 있다. (사진=AFP 제공)


푸틴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러시아를 방문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을 한 뒤 국영TV 로시야1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이번 회담에서 군사기술 협력 문제를 논의했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고 타스통신 등은 전했다.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가 직접 승인한 안보리 대북 제재들을 염두에 둔 듯 “(대북 제재의 틀 안에서 협력하는 것은) 일정한 제한이 있다”며 “러시아는 모든 제한을 준수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다만 “우리가 협의할 수 있는 것들은 있다”며 “이에 대해 논의하고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서방 진영은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자신이 직접 참여한 제재를 스스로 뒤집는 ‘자기 부정’을 했다는 점에서 안보리 무용론이 거세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는데, 푸틴 대통령은 제재를 준수하면서도 북러 협력을 추진하는 게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반박한 것이다.

그의 발언은 표면적으로는 북한과 무기 거래에 따른 국제사회의 2차 제재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미국 싱크탱크 전쟁연구소(ISW)는 “푸틴이 이번 회담으로 러시아의 기존 제재 회피 체계가 위태로워 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을 수 있다”며 “그래서 김정은과의 회담 결과를 중립적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다만 그 속내는 결국 서방이 지적하는 유엔 제재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으며, 위험한 거래는 계속 이어가겠다고 선언한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푸틴 대통령은 “김 위원장을 위해 마련한 일정들이 다 끝나지 않아서 그의 방러 결과를 결산하기는 이르다”며 “김 위원장은 군용·민수용 항공기 생산 공장을 방문하고 태평양함대 전력을 시찰할 것”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러시아 극동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푸틴 대통령과 회담한 뒤 전용 열차를 타고 하바롭스크주에 있는 산업도시 콤소몰스크나아무레로 이동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곳은 군용 전투기와 민간 항공기를 각각 만드는 생산 공장과 잠수함 같은 군함을 만드는 조선소가 있다. 김 위원장은 뒤이어 태평양함대 사령부, 극동연방대학교 등이 있는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를 찾을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모두 군사기술 협력과 관련돼 있는 장소다.

러시아 측은 서방 진영에 대한 비판도 이어갔다. 아나톨리 안토노프 주미 러시아 대사는 성명을 통해 “미국은 아시아에서 연합군을 구축하고 한반도 인근에서 군사 훈련을 확대했다”며 “우크라이나에 수십억달러의 무기를 공급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은 우리에게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가르칠 권리가 없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그는 이어 “미국 관료들이 그토록 사랑하는 단극 체제를 유지하는 것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며 “이제 미국이 경제 제재를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다만 유엔 체제를 위협하는 러시아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는 여전하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이날 유엔 본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북한과 협력하려는 모든 나라는 안보리 대북 제재를 존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정 국가를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러시아를 염두에 두고 발언한 것으로 읽힌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그들(북러)이 일종의 무기 거래를 추진하기로 결정하면 우리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