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한국 관광객 100만명 유치할 것”…터키항공, ‘커넥트 투 튀르키예’ 행사 개최

김명상 기자I 2023.07.17 19:38:21

한국 시장에 독점적 서비스 제공 목표 발표
“2025년까지 500대의 항공기 추가 계획 있어”
튀르키예 풍경 전하는 커넥트 사진전도 선보여

‘커넥트 투 튀르키예’ 행사를 위해 방한한 아흐멧 볼랏(왼쪽 네 번째) 터키항공 회장과 관계자들 (사진=김명상 기자)
[이데일리 김명상 기자] “향후 3년 내에 한국인 관광객 100만명을 유치하고자 합니다. 현재 아시아에서 46개 도시에 취항 중인데 아시아 투어 중 제일 먼저 방문한 곳이 한국입니다. 그만큼 한국 시장은 중요합니다. 앞으로 한국인 전용 프로모션과 서비스 등을 통해 관광객 유치에 힘쓰겠습니다.“

아흐멧 볼랏 터키항공 회장은 17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이 아시아 선도 국가 중 하나로서 터키항공 미래의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인 여행객 100만명 유치를 위해 한국인 대상의 독점적인 프로모션을 실시하고, 편리한 서비스와 혁신적인 여행 경험을 선사하겠다는 의지도 전했다.

2022년에 역대 최고 순이익을 달성하는 등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는 터키항공이 한국을 주목한 이유는 한국 시장의 커다란 잠재력과 특유의 성향이 배경이 됐다는 설명이다.

아흐멧 볼랏 터키항공 회장은 ”기원전 1만1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추정되는 유적인 카라한테페 등의 요소가 역사와 문명의 발상지를 선호하는 한국인의 성향에 잘 맞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인 관광객 100만명 유치 계획에 대해 ‘낙관적’이라고 말했다. 과거 한국인 관광객이 튀르키예를 25만명 방문하는 등 인기를 끌었던 만큼 이를 100만명으로 증폭시키겠다는 목표가 거대한 꿈은 아니라는 것이다.

아흐멧 볼랏 터키항공 회장은 ”팬데믹 이전에 3000만명 이상이 해외여행을 떠나는 한국 시장에서 100만명을 모시고 싶다는 것이 그리 무리는 아니라고 본다“며 ”아직 한국의 하늘길과 여행 시장의 회복이 덜 이뤄진 만큼 잠재력이 크다고 보고 적극적으로 유치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터키항공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튀르키예 체류객을 늘리는 것이다. 방문객 대부분이 튀르키예를 경유해 유럽으로 건너가는 환승 여행객이지만 앞으로 튀르키예 자체를 목적지로 하는 여행객을 증대하겠다는 것이다.

‘커넥트 투 튀르키예’ 행사를 위해 방한한 아흐멧 볼랏 터키항공 회장 (사진 왼쪽)
아흐멧 볼랏 회장은 ”현재 탑승 승객의 65%가 이스탄불을 거쳐 다른 나라로 가는 환승 수요“라며 ”물론 목적지로 가는 중간 경유지의 서비스도 중요하지만 향후 65%는 체류객, 35%는 환승객 정도로 수요를 전환시키고 싶다“고 말했다.

한국인 전용 프로모션에 대한 계획도 검토 중이다. 일례로 환갑을 맞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가족 여행객 규모에 한해 무료 탑승권을 증정하는 등의 이벤트로 튀르키예를 쉽게 방문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아흐멧 볼랏 터키항공 회장은 ”튀르키예 국적 항공사로서 한국 시장을 위한 독점적인 서비스를 제공해 승객들에게 편안하고 즐거운 여행 경험을 선사할 것“이라며 ”우리는 광범위한 지역을 아우르는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 시장에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최근 400번째 항공기를 추가했으며, 2025년까지 500대의 항공기를 추가할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간담회 이후 열린 갈라 행사에선 튀르키예의 아름다운 도시와 자연 등을 소개하는 ‘커넥트’(Connect) 사진 전시회가 이어졌다. 유명 사진작가 무라트 다아슬란의 렌즈를 통해 튀르키예를 보여주고자 기획된 자리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주거 지역 중 하나인 아나톨리아의 숨은 명소를 포함해 튀르키예의 여러 지역과 49개 도시의 풍경 사진이 전시됐다.

터키항공의 비즈니스 클래스 (터키항공 홈페이지 갈무리)
한편 세계적인 항공 평가 기관인 스카이트랙스(Skytrax)로부터 ‘유럽 최고의 항공사’로 선정된 터키항공은 현재 129개국 291개의 국제선과 53개의 국내선 등 전 세계 344개 목적지로 운항 중이다. 1933년에 5대의 항공기로 설립된 이래 지금은 422대의 항공기(여객 및 화물)를 보유하고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