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최종구 "금리인상으로 중소ㆍ중견기업 부실화 우려"

김경은 기자I 2017.12.18 16:22:37

기업구조혁신 지원방안 추진 간담회 모두발언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18일 서울 강남구 한국자산관리공사 서울지역본부에서 기업구조혁신 지원방안 추진 간담회를 열고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금융위 제공]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18일 “금리 인상이 본격화되면 그간 저금리 상황에서 비용을 감내해온 중소·중견기업 중 많은 수가 부실화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역삼동 소재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서울지역본부에서 열린 기업구조혁신 지원방안 추진 간담회 모두발언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와 해운·조선업 구조조정 여파로 구조조정 기업뿐 아니라 그 협력업체로 부실이 전이될 가능성이 크다”고도 지적했다.

최 위원장은 “그간 우리나라의 기업구조조정은 채권금융기관 중심으로 이뤄져 왔고 특히 국책은행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 관치라는 오해를 받아왔다”면서 “채권은행 중심의 구조조정만으로는 전체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제 자본시장이 주요산업의 글로벌 트렌드를 모니터링하고 기존의 굴뚝 산업이 4차산업으로 탈바꿈하도록 혁신을 선도하는 역할을 담당할 필요가 있다”면서 “그 마중물 역할을 기업구조혁신펀드가 담당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PEF(경영참여형 사모펀드)는 해외 투기자본 경험 때문에 ‘기업 사냥꾼’이라는 이미지가 강하게 자리잡고 있지만, 최근에는 부실기업에 신규자금을 급하고 기업 실적을 ‘턴 어라운드(turn around)’시켜 ‘비올 때 우산을 가져다 주는’ 성공사례가 점차 생겨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최 위원장은 특히 “아직 재무구조가 취약한 수많은 중소기업이 경영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낙인효과와 채권금융기관의 위험회피로 인해 구조조정 시장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구조조정 채권을 결집하고, 기업, 채권은행, 회생법원 등과 자본시장 플레이어를 연결해 신속한 재기와 혁신이 가능토록 할 것”이라며 “기업구조조정 플랫폼이 바로 그 기능을 담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나 이날 발표한 ‘기업구조혁신 지원 방안’에 대해 “시장 플레이어가 돈 되는 곳에 찾아가는 자연스러운 구조조정이 되도록 하려는 것”이라며 “규모가 크고 이해관계가 많은 곳은 채권금융기관 중심이 되겠지만, 투트랙으로 가다 점차 시장 중심으로 나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나금융 이사회가 최근 금융당국의 지배구조 개선 압박에 “관치 금융 부활이 우려된다”며 불만을 말한 것에 대해서는 “그 이야기는 그만하겠다”며 말을 아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