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ETRI, OLED조명 핵심원천기술 개발

김현아 기자I 2013.10.01 17:54:35

광추출 부품 및 소재기술로 전력소모 2배 이상 절감
7일 핵심기술 및 시제품 일반 공개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차세대 친환경 조명으로 주목받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대한 핵심 원천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원장 김흥남, 이하 ETRI)은 1일 ‘광추출 소재 및 부품’에 대한 원천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투명전극과 기판 사이에 빛을 산란시킬 수 있도록 기판에 나노구조체를 만들고, 굴절률이 높은 유무기 복합 소재를 이용해 표면을 평평하게 만든 것이다. 때문에 OLED 광원에 광추출 부품을 도입해도 투과도 손실을 10% 이내로 최소화할 수 있고, 250℃이하의 비교적 저온상태에서도 공정이 가능하다.

광추출 기판의 나노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본 모습
연구진은 “고가의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제조시 꼭 필요한 광학 패턴장비를 이용한 공정을 하지 않아도 대량생산이 가능해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기존 조명용 OLED 뿐만 아니라 투명 및 플렉시블 조명용 OLED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ETRI는 이 기술을 통해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해 유연한 광원을 만드는가 하면, 투명한 조명 광원을 만드는 데에도 성공했다. 향후 투명 및 플렉시블 OLED 광원은 집안의 벽지나 천장 마감재처럼 인테리어 소재로 활용될 전망이다.

이정익 OLED연구실 실장은 “소재·부품에서 광원-조명 등기구에 이르는 전 주기적인 기술개발을 통한 OLED조명을 개발함으로써 창조 경제에 부합하는 차세대 조명산업의 신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ETRI가 만든 투명 OLED 광원을 이용한 색다변 OLED 조명 시제품의 모습
이 과제는 미래부의 ‘교감형 스마트 OLED 광원 핵심 기술 개발’과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환경/감성형 OLED 면조명 기술’의 일환으로 개발됐다. 지난 4년 동안 SCI 21편,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등록 89건, 기술이전도 8.5억 원을 실시했다.

ETRI는 7일부터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전자정보통신산업대전(KES)에도 출품, 일반에 공개한다. 장종찬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전기전자평가팀장은 “이번 전시회가 OLED 산업 및 보급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하길 기대한다”면서 “OLED 조명이 국가 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는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디스플레이뱅크 보고서에 따르면 OLED 조명 관련 시장은 2015년과 2020년에 전 세계적으로 약 18억 불과 56억 불 규모가 예상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