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한은, 기준금리 1년 만에 동결…이창용 "'인상 끝' 아니다"

최정희 기자I 2023.02.23 17:11:47

한은, 기준금리 3.5%로 유지
올해 성장률·물가상승률 0.1%p씩 하향
3월부터 물가 하락, 연말 3%대 전망
이창용 "물가상승 대비 금리 많이 올려"
금통위원 5명 "3.75%까지 열어둬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출처: 한은)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 체제에선 첫 동결이다.

총재는 주요 선진국과 비교해 물가상승률 대비 금리를 더 많이 올렸다고 밝힌 반면 6명의 금통위원 중 5명은 최종금리 3.75%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입장이다. ‘비둘기’ 총재와 5명의 매파 금통위원 공조 속에 이 총재는 이번 금리 동결을 ‘금리 인상기’의 종료라고 해석하지 말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추가 금리 인상이 있을지는 물가에 달려 있다.

출처: 한국은행
한은 금통위는 23일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3.5%로 유지했다. 작년 2월 이주열 총재 당시 금리 동결 결정 이후 1년 만에 동결이다.

이 총재는 “물가가 3월부턴 4%대로 낮아지고 연말 3%초반대로 내려가는 경로가 예상된다”며 “이런 경로대로만 간다면 굳이 금리를 더 올려서 긴축으로 가기보다 지금 수준에서 그 영향을 한 번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금리 결정을 안개 낀 길을 운전하는 자동차에 비유하기도 했다. 그는 “안개가 가득한 데 어느 방향인지 모른다면 그럴 때는 차를 세우고 안개가 사라질 때까지 본 다음 그 다음에 갈지 말지 봐야 하지 않겠냐”고 설명했다.

한은은 이날 올해 경제성장률을 반도체 경기 개선 시점 지연, 국내 부동산 경기 둔화 등을 고려해 1.7%에서 1.6%로 낮췄고 물가상승률도 3.6%에서 3.5%로 낮췄다. 물가는 국제유가가 배럴당 84달러대로 하락한 것을 반영한 것일 뿐 근원물가 상승률은 외려 0.1~0.3%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근원물가는 더디게 떨어진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총재는 이번 금리 동결 결정이 ‘금리 인상기의 종료’가 아님을 명확히했다. 총재는 “금리 동결을 금리 인상 기조가 끝났다는 의미로 받아들이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과거엔 금리를 인상한 후 시간을 두고 추가 인상 여부를 검토해온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과거의 방식으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금통위원들간 이견이 커지고 있다. 이 총재는 “최종금리를 3.75%로 가져갈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가진 위원이 5명이었다”고 말했다. 1월에는 3명이었으나 매파(긴축 선호) 금통위원들이 더 늘어났다. 금통위를 협의체로 생각해 소수의견 표명을 자제해 온 조윤제 위원은 처음으로 ‘인상’ 소수의견을 냈다. 반면 총재는 “지금까지 금리를 3%포인트 올렸는데 이는 물가 상승에 비해 선진국 평균 이상으로 올린 것”이라며 현 금리 수준이 충분히 긴축적이라고 평가했다.

한미 금리 역전폭이 2%포인트 이상 벌어지고 그로 인해 원·달러 환율이 급등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선 “연방준비제도(Fed·연준)로부터 독립한 것은 아니지만 국내 요인을 보면서 금리를 결정할 수 있는 쪽으로 좀 더 많은 변화가 있었다”고 며 연준을 따라 금리를 올리진 않을 것을 시사했다.

연내 금리 동결 가능성이 높지만 한은이 예상한 물가 경로를 벗어난다면 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 박석길 JP모건 금융시장운용부 본부장은 “올해 내내 3.5%로 동결할 것이란 전망을 유지하지만 금리를 더 올릴 가능성은 일부 있다”고 전망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