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러 “우크라 무기 지원, 치명적 결과” 경고…날선 한·러 관계

박기주 기자I 2024.06.26 21:11:44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 브리핑
북·러 유착 관계 이후 `우크라 지원` 두고 날선 공방

[이데일리 박기주 기자]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을 두고 우리나라와 러시아가 강도 높은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새벽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영접했다고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김 위원장이 미소를 지으며 푸틴 대통령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사진=조선중앙TV, 연합뉴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26일(현지시간)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제공한다면 한러관계가 치명적인 결과를 맞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자하로바 대변인은 26일 브리핑에서 “우리는 러시아와 한국의 관계에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한국의 성급한 조치에 대해 경고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제공한다면 한러관계가 치명적인 결과를 맞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또 “한국 무기와 장비가 우크라이나로 이전되는 것을 무관심하게 지켜보지 않을 것이며 이는 한러 관계 악화로 이어질 것”이라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모든 회원국이 데탕트(긴장 완화)에 진지하게 관심을 두고 있다면 되도록 빨리 대북 제재 체제를 수정하는 것이 효과적인 조치가 될 것”이라고 했다.

러시아의 이 같은 격앙된 반응은 지난 19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체결하면서 시작됐다. 이를 두고 러·북 관계가 군사동맹 수준으로 깊어졌다는 우려가 나왔다. 여기에 고무된 북한이 군사 도발을 감행하거나 러시아 군사기술이 북한에 이전된다면 우리 안보에도 위협이 될 수밖에 없다.

이후 지난 20일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문제는 재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간 정부는 한·러 관계를 고려해 러시아에 지뢰 제거장비·구급차 같은 비살상 물품만 지원했지만 앞으론 무기 등도 지원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튿날 대통령실 관계자는 “무기지원에는 다양한 방안들이 고려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방안은 최근의 러북 동향 관련 우리측이 어제 밝힌 입장에 앞으로 러시아측이 어떻게 응해 오는지에 따라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