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軍 화력격멸훈련, 8년만에 역대급 실시…'힘에 의한 평화' 현시

김관용 기자I 2023.05.25 17:00:00

건군 75주년·한미동맹 70주년, 연합·합동 화력격멸훈련
한미 71개 부대 병력 2500여명·장비 610여대 참가
총 5회 실시…대북억제력 및 연합·합동작전 능력 과시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국방부가 25일 경기도 포천 승진과학화훈련장에서 ‘2023 연합·합동 화력격멸훈련’의 첫 번째 훈련을 실시했다. 국방부는 이날 뿐만 아니라 6월 2일, 7일, 12일, 15일 등 5회 진행할 예정이다.

국방부는 이번 연합·합동 화력격멸훈련은 올해 건군 75주년과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압도적 힘에 의한 평화’ 구현을 위한 한미 연합·합동작전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북한의 도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실기동·실사격 훈련을 진행해 대북 억제력을 강화하고 우리 국군의 첨단과학기술에 기반한 군사능력을 과시한다는 계획이다. 한미동맹의 연합·합동작전 수행능력 향상도 주요 목표다.

이를 위해 이번 훈련은 역대 최대 규모로 실시됐다. 한미의 최신 첨단전력 71개부대 2500여 명의 장병과 610여 대의 장비가 참가했다. 훈련은 사전훈련과 1·2부 본 훈련, 장비 관람으로 나눠 약 130분간 진행됐다.

사전훈련에서는 자주국방 발전사와 육·해·공군 및 해병대의 위용을 영상으로 보여준 이후, 군집드론 비행과 특전사 고공강하 훈련을 했다. 이어 본 훈련은 1부 북한 핵·미사일 위협 대응과 북한 공격 격퇴, 2부 반격작전으로 진행됐다.

25일 경기도 포천 승진과학화훈련장에서 진행된 2023 연합합동 화력격멸훈련의 첫 번째 훈련에서 MLRS(M270, 다련장로켓)를 이용한 동시통합사격을 하고 있다. (사진=국방부)
1부 훈련에서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전면적인 공격에 대응하는 우리 군의 능력과 태세를 선보였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해 한미가 함께하는 확장억제 능력과 한국형 3축체계 등 한미동맹의 연합방위태세를 영상을 통해 보여줬다.

이어진 실제훈련에서는 북한의 장사정포들이 일제히 사격을 개시하며 불법 무력침략을 감행한 상황을 상정해 우리 군이 즉각 대화력전에 나섰다. 연합 공중전력이 종심지역 북한의 포병부대와 지휘 및 지원시설을 타격하고, 이와 동시에 K-9자주포와 천무 다련장로켓 등으로 구성된 포병부대들도 일제히 사격해 북한 포병부대들을 격멸했다.

이후 GOP 일대에서 북한이 일제히 공격을 감행했다. 이에 우리 군은 다수의 정찰드론을 띄워 상황을 확인하고, 핵심 표적을 정밀타격했다. 또 공격헬기와 포병, 직사화기 등 가용화력을 집중해 GOP 일대에서 북한의 공격을 격퇴했다.

2부 훈련에서는 대한민국을 침략한 북한의 군사위협을 완전히 격멸하기 위한 반격 작전이 이뤄졌다. 우선 한미의 연합 정찰·감시자산을 운용해 북한 후방지역의 핵심표적을 식별하고 한미 공중 전력과 포병 전력 등이 지휘통제체계와 포병부대를 정밀타격했다. 또 북한 후방지역에서 증원되는 부대까지 타격함으로써 기동부대의 공격 여건을 조성했다.

이어 ‘아미 타이거’(Army TIGER)를 비롯한 지상공격부대가 기동과 사격을 하고 아파치 헬기와 최신무인기가 팀을 이룬 유·무인복합체계(MUM-T)전력과 공군 전력 등이 지원사격을 하는 가운데 장애물 지대를 극복했다.

25일 경기도 포천 승진과학화훈련장에서 진행된 2023 연합합동 화력격멸훈련의 첫 번째 훈련에서 군집드론 비행을 하고 있다. (사진=국방부)
또 무인기(UAV)와 정찰드론 등이 목표지역에 대한 정찰을 하고, 목표지역 확보를 위해 한미 연합·합동부대의 동시 통합 사격으로 북한군 부대와 전투 진지를 초토화했다. 뒤이어 군단 특공연대가 공중강습작전을 통해 중요 지형을 확보하고,기계화 부대가 고속으로 기동해 목표를 확보했다.

작전을 승리로 종결한 한미 장병들은 개선 행진과 승리의 ‘V’사격을 하며 훈련을 종료했다. 이후 관람객 모두가 K-방산의 주력 장비를 직접 관람하며 훈련에 참가했던 무기체계의 우수성을 확인했다.

이날 훈련에는 공개 모집한 국민참관단 300명을 포함한 2000여 명이 참관했다. 이번 훈련을 총 지휘한 육군 5군단장 김성민 중장은 “8년 만에 역대 최대 규모로 시행된 화력격멸훈련을 통해 국민 여러분께서도 우리 군의 위용을 현장에서 생생하게 느끼실 수 있는 기회가 돼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