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지카바이러스 분석법으로 코로나19 기전 파악하나

강민구 기자I 2020.04.28 15:04:11

안전성평가연, RNA 염기서열 분석법 활용해 연구
분석법으로 코로나19 세포간 기전연구 추진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안전성평가연구소는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의 RNA염기서열 분석방법을 활용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의 기전을 파악할 수 있다고 28일 밝혔다.

안전성평가연구소 독성정보연구그룹 연구진은 지카 바이러스가 신경세포와 수지상세포에서 유발하는 변화를 비교네트워크 분석방법의 차세대염기서열분석 데이터를 활용해 확인했다.

지카바이러스에 의한 수지상세포에서의 네트워크 변화. 지카바이러스가 수지상세포의 면역을 억제하고 회피해 감염을 용이하게 만든다는 것을 의미한다.<자료=안전성평가연구소>
비교네트워크 분석방법은 서로 다른 단백질 상호작용을 비교해 복합 요소가 작용하는 상황에서 유전자들을 선별하는데 유용한 기법이다.

지카바이러스는 숲 모기 매개의 바이러스로 말초신경을 손상시켜 근육을 무력하게 만들고 태아 소두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 결과 일반 신경세포에서는 지카바이러스가 염증 유전자들을 증가시키고, 손상된 DNA 복구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켜 세포를 죽였다. 반면 면역계 세포 중 하나인 수지상 세포에서는 염증 반응 관련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고, 손상된 DNA에 대한 복구시스템이 잘 작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지카바이러스가 바이러스 자신을 없애려고 하는 수지상 세포의 면역반응을 억제하고, 회피해 숙주에 바이러스 감염을 쉽게 만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강명균 독성정보연구그룹장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폐세포 뿐만 아니라 신경세포들에도 감염되는 증거들이 나오고 있다”며 “지카바이러스를 분석했던 비교네트워크 분석방법으로 코로나19에 대한 세포 간 기전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게재됐다.

`코로나19` 비상

- 전국 교정 시설 코로나 누적 확진자 1238명…동부구치소 10명 추가 - “담배 피우고 싶어”…코로나 격리 군인, 3층서 탈출하다 추락 - 주 평균 확진자 632명, 거리두기 완화 기대 커졌지만…BTJ열방센터 등 '변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