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선거 딥페이크 대응 나선 IT기업…"자율협의체 구성·방안 발표"

김가은 기자I 2024.02.26 17:10:35

네이버·카카오·구글 등 딥페이크 대응
한국형 뮌헨안보회의(MSC) 논의
악의적 딥페이크 대응 방안 조속히 발표 예정

[이데일리 김가은 기자] 네이버, 카카오, 구글 등 국내 주요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자율협의체를 구성하고, 악의적 딥페이크 기술 대응 방안을 마련한다. 선거에 미칠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최근 확산된 윤석열 대통령 딥페이크 영상. 방송통신위원회는 해당 영상을 차단하는 조치를 내렸다.(사진=틱톡갈무리)
26일 한국인터넷기업협회는 구글코리아, 네이버, 메타, SK커뮤니케이션즈, 카카오, 틱톡 등 회원사들이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와 재보궐선거의 공정성·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 자율협의체를 구성, 대응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해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적으로 여러 선거가 예정돼 있다. 각국 IT 기업들은 유권자를 현혹하는 악의적 AI 사용을 막기 위해 노력 중이다. 국내 기업들 또한 자발적으로 자율협의체를 구성 후 논의를 시작했다. 지난 16일에는 뮌헨안보회의(MSC)에서 발표된 기술 협정과 같은 협약문 발표에 합의하기도 했다.

참여 기업들은 공동 대응을 통해 선거 과정에서 진실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 중이다. 현재 세부 사항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협약은 선거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악의적으로 제작·편집한 딥페이크 콘텐츠(영상·음성·이미지)를 대상으로 한다.

협회 관계자는 “악의적 선거 딥페이크 관련 위험 완화를 위한 노력과 유포 방지를 위한 기업 간 논의, 외부 전문가 그룹과의 지속적 논의 등 대응 방안을 마련해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