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조직개편·행정관 50여명 퇴출…대통령실 1차 개편 완료

송주오 기자I 2022.09.07 16:53:27

김대기 대통령실 비서실장, 7일 브리핑 통해 밝혀
디지털소통, 홍보수석실 이관…종교다문화, 사회공감으로 변경
전희경·장경상, 정무1·2비서관 임명…강인선, 외신대변인으로
"국민에게 최선의 공공서비스 제공할지에 포인트 둬"

[이데일리 송주오 박태진 기자] 대통령실의 첫 인적 개편이 7일 마무리됐다. 정책기획실 신설과 홍보수석 교체를 신호탄으로 시작된 이번 개편은 비서관급 중폭 교체와 행정관 등 실무진 물갈이로 이어졌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7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신임 보건복지부 장관에 조규홍 제1차관을 내정했다고 밝히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비서실 조직 개편과 인사가 좀 있었다”며 1차 개편이 마무리됐다고 발표했다. 우선 조직 변화가 눈에 띈다. 대통령실은 시민사회수석실에 있던 디지털소통비서관을 홍보수석실로 이관하고, 종교다문화비서관실을 사회공감비서관실로 변경하기로 했다. 또 홍보수석실에 해외홍보비서관을 신설하고, 외신비서관을 겸직하도록 했다. 강인선 대변인이 신설된 자리로 이동한다.

대변인실에는 천효정 홍보기획비서관실 선임행정관이 부대변인으로 새롭게 합류한다. 기본 이재명 부대변인과 함께 대변인실을 책임진다. 신임 대변인 인선은 공석인 상태로 추후 인선 가능성이 남아 있는 상태다.

정무1비서관에는 전희경 전 의원, 정무2비서관에는 장경상 국가경영연구원 사무국장, 국민제안비서관에는 정용욱 국무총리실 민정민원비서관이 각각 임명됐다. 시민소통비서관과 사회공감비서관은 기존 비서관실 선임행정관이 직무대리로 임명됐다.

행정관급은 대대적인 인적 쇄신이 이뤄졌다. 행정관급 중 상급자인 수석과 비서관의 평가 등에 따라 50여 명에게 사직을 권고했고, 의원면직 형식으로 대통령실을 떠나도록 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번 개편과 관련 “인적 쇄신은 윤 대통령도 말씀했지만, 정치적 목적으로 하는 게 아니고 대통령실이 어떻게 하면 좀 더 능률적이고 효율적으로 움직여서 국민에게 최선의 공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에 포인트를 뒀다”고 강조했다.

일부 직원에 대한 권고사직 기준에 대해선 “어떤 기준을 갖고 어디서 왔으니까, 무능하니까 (퇴출)하고 그런 개념은 아니었다”며 “자기가 맞는 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느냐 그런 차원이었다”고 했다.

그는 ‘검찰 라인만 살아남은 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는 질문에 “검찰 출신 비서관은 3명밖에 없다”며 “법률·공직기강은 원래 검사들이 하는 것이고, 인사비서관 1명 정도”라고 답했다. 검찰 일반직 출신 복두규 인사기획관에 대해서는 “1만2000명이 되는 검찰 조직에서 인사 업무를 10년 이상 하신 분”이라고 “실제 일을 해보니 인사를 아주 객관적으로 잘하더라”라고 평가했다.

이 관계자는 집권 초기 ‘인사 난맥상’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였다는 점을 인정했다. 그는 “인사의 난맥상이 당연히 있을 수 있다”며 “처음엔 누가 누군지도 모르고 어느 정도 규모로 어떻게 운영해야 할지도 모르고 사람들이 막 들어오게 돼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참모들에게 ‘기회는 드릴 수 있지만, 보장은 해줄 수 없다’고 말한 적이 있다며 “멋있는 말”이라고 했다. 이어 “처음에는 어느 정권이든 겪는 진통이라고 이렇게 좀 이해해주시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