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中 틱톡 모회사, 美 브로드컴과 첨단 AI 반도체 개발"

이소현 기자I 2024.06.24 17:08:34

로이터통신 소식통 인용해 보도
5nm 이상 맞춤형 반도체 개발 중
생산은 대만 TSMC서 맡을 듯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동영상 플랫폼 ‘틱톡’ 소유주인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가 미국의 반도체 설계기업 브로드컴과 손잡고 첨단 인공지능(AI) 프로세서를 개발하고 있다고 전해졌다.

중국 상하이에 있는 바이트댄스 사무실에서 바이트댄스 로고가 보인다. (사진=로이터)


2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익명의 소식통들을 인용해 바이트댄스와 브로드컴이 5나노미터(1nm=10억분의 1m) 이상의 첨단기술이 포함된 맞춤형 반도체를 개발 중이라며, 미·중 긴장 속에서 생산이 이루어지면 바이트댄스가 첨단 반도체를 조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두 기업이 협력해 개발하는 칩은 5나노미터(㎚)의 최첨단 반도체로, 반도체 업체가 사용자의 주문에 맞춰 설계·제작해 주는 주문형 반도체(ASIC)다. 로이터는 해당 칩이 미국 수출 규제를 준수할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이 2022년 최첨단 반도체에 대한 수출 통제 조처를 한 이후 중국과 미국 기업 간에 5나노미터 이상의 첨단 기술이 포함된 반도체 개발 협력이 발표된 적은 없다. 미·중 기업 간 협력은 일반적으로 이보다 덜 정교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소식통은 바이트댄스가 기존 사업 파트너인 브로드컴과 제휴하면 조달 비용을 절감하고 첨단 반도체의 안정적인 공급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브로드컴 로고가 표시된 스마트폰이 컴퓨터 마더보드 위에 놓여 있다. (사진=로이터)
해당 반도체 제조는 대만의 TSMC가 맡게 될 전망이다.

다만 반도체 생산은 올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소식통은 설계 작업이 잘 진행되고 있지만, 설계를 마무리하고 제조에 들어가는 단계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바이트댄스나 브로드컴은 이 같은 소식에 대한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으며, TSMC는 거부했다.

AI 반도체 시장의 선두주자인 엔비디아의 최첨단 반도체는 미국의 수출 통제로 인해 중국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화웨이를 비롯한 중국 AI 가속기 제조업체들도 첨단기술 개발에 적극적이어서 두 나라 간 경쟁은 치열해지고 있다.

바이트댄스와 브로드컴은 2022년부터 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로이터는 바이트댄스가 알고리즘을 더욱 강력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AI 칩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고 짚었다. 바이트댄스는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과 중국 버전인 더우인(Douyin) 외에도 2600만명 사용자를 보유한 챗GPT와 유사한 AI 챗봇 두바오(Doubao) 를 비롯한 다양한 인기 앱을 운영하고 있다.

이 사안에 정통한 또 다른 소식통은 바이트댄스가 AI 사업 확장을 위해 엔비디아 칩을 비축하고 있다고 전했다. 여기에는 미국의 1차 제재가 시작되기 전에 구입한 A100과 H100을 비롯해 엔비디아가 중국 시장을 위해 만들었지만, 나중에 제재를 받은 A800 및 H800도 포함된다고 전해졌다. 바이트댄스는 작년에 엔비디아 칩 구매를 위해 20억 달러(약 2조7000억원)를 할당했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