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대형 화재 발생한 '밀양 세종병원' 스프링클러 설치 왜 안됐나

김민정 기자I 2018.01.26 17:04:54
밀양 화재원인 조사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e뉴스 김민정 기자] 26일 오전 대형 화재로 37명의 사망자를 낸 경남 밀양시 세종병원은 지난 2008년 3월 개원했다.

밀양 출신인 손경철 효성의료재단 이사장이 고향에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병원을 인수한 후 일반 치료와 요양을 겸한 병원으로 거듭났다.

세종병원은 밀양 지역에서는 큰 규모의 종합병원으로 일반 병상 95개, 요양 병상 98개로 총 193병상을 갖추고 있다. 현재 의사와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을 포함해 총 35명의 의료진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개의 병동으로 이뤄진 이 병원은 앞쪽엔 뇌혈관 질환과 중풍을 중점치료하는 일반 병동이 있으며, 뒤편에는 치매나 뇌졸중과 같은 노인 질환자가 머무는 요양 병동이 있다.

이날 오후 현장 브리핑에서 석경식 병원장은 “정말 죄송하다”고 거듭 밝힌 뒤 “사태 마무리를 위해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병원장과 함께 참석한 손 이사장은 화재 원인에 대해 “냉·난방기 2대 중 1대에서 전기 스파크로 불이 났다거나 천장 스파크, 또는 수술 기구를 소독하는 처치실에서 났다는 얘기도 있는데 정확한 내용은 아직 모른다”고 밝혔다.

또 “세종병원은 건축면적상 스프링클러를 설치할 수 있는 면적이 아니다. 관련 법이 개정된 이후 올해 6월 30일까지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도록 돼 있어 다음 주에 (공사를) 하는 걸로 한 상태였다”며 소방점검이나 대피 훈련 등 필요한 절차를 모두 따랐다고 주장했다.

잿더미 된 밀양 세종병원 (사진=연합뉴스)
그러면서 “당시 현장에는 병원 당직 인원이 정상 배치돼 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9명 가량으로 추정한다”며 “이날 사고로 의사 1명, 간호사 1명, 간호조무사 1명 등 병원 직원 3명이 숨졌다”고 말했다.

손 이사장은 “세종병원과 세종요양병원 건물에는 각각 25억원의 화재보험을 들어놓은 상태”라며 “2개 보험에 가입했는데 한 보험은 사망자 수에 관계없이 1명 당 2억원, 다른 보험은 1명 당 8000만원까지 보상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소방당국의 브리핑 내용에 따르면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본관 1층과 2층이다. 세종병원은 1층에 응급실과 원무실, 2층에 입원실, 3층에 중환자실 등이 있다. 주된 사인은 유독가스로 인한 질식사로 추정된다.

밀양 세종병원 화재

- 경찰 "밀양 세종병원 화재 원인 응급실 천장 전기합선" - '48명 사망' 밀양 세종병원 이사장·총무과장 구속 - 경찰, 밀양 세종병원 병원장 등 3명 체포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