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혐한' 발언 日 DHC 회장에 현지 시민단체, 심사 요청

황효원 기자I 2020.12.28 16:37:37

'한국인 비하' 日 DHC 회장, 헤이트 스피치 심사대 오른다
오사카시에 심사 요청

[이데일리 황효원 기자] 일본 현지 시민단체가 화장품업체 DHC의 요시다 요시아키(吉田嘉明) 회장이 한국을 비방하는 표현을 인터넷에 올린 것에 대해 당국의 대응을 요구하고 나섰다.

(사진=연합뉴스)
28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오사카(大阪)시에 사무소를 둔 시민단체 ‘코리아NGO센터’ 곽진웅 대표이사는 ‘헤이트 스피치(Hate speech·특정 집단에 대한 공개적 차별·혐오 표현)’ 억제를 목적으로 하는 오사카시 조례에 따라 논란을 일으킨 요시다 회장의 글을 심사해달라고 오사카시에 요청했다.

곽 대표이사는 “요시다 회장의 글이 코리안(한국·조선인)을 부당하게 깎아내리고 명예를 훼손했다”면서 “DHC의 직영점이 오사카에도 여러 개 있는 점 등을 고려하면 오사카시가 요시다 회장의 발언을 심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요시다 회장은 지난달 DHC의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 올린 글에서 건강보조식품 경쟁사인 산토리와 자사를 비교하면서 “산토리의 광고에 기용된 탤런트는 어찌 된 일인지 거의 전원이 코리아(한국·조선) 계열 일본인이다. 그래서 인터넷에서는 ‘존토리’라고 야유당하는 것 같다”고 썼다.

존토리는 재일 한국·조선인 등을 멸시하는 표현인 ‘존(チョン)’에 산토리의 ‘토리’를 합성 표현으로 요시다 회장의 글은 재일 한국·조선인과 산토리를 싸잡아 깎아내리는 발언으로 볼 수 있다.

그는 또 “DHC는 기용한 탤런트를 비롯해 모든 것이 순수한 일본 기업”이라고 덧붙였다.

요시다 회장의 글이 알려진 이후 트위터에서는 “차별기업 DHC의 상품은 사지 않습니다”는 해시태그를 붙인 항의가 이어졌다.

오사카시는 2016년 1월 일본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헤이트 스피치 억제 조례’를 제정했고, 같은 해 7월부터 전면 시행에 들어갔다.

조례는 ‘헤이트 스피치’를 “특정 인종이나 민족을 사회에서 배제할 목적으로 불특정 다수가 내용을 알 수 있는 장소 또는 방식으로 비방·중상하는” 표현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지만 헤이트 스피치 억제를 위한 오사카시 조례의 심사 대상은 오사카시에서 이뤄진 표현 활동이나 오사카 시민에 관련된 표현 활동으로 한정돼 있다.

오사카시는 곽 대표이사의 요청에 대해 조례의 대상인지는 검토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