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대통령 집무실, 세종市로"…충청권 지자체·정치권 유치 본격화

박진환 기자I 2019.01.21 14:24:49

민주당 충청권 시·도당 "대통령 집무실 세종설치" 주장
국회세종의사당 건립 등 충청권 현안에 공동 대응키로
"대선공약 파기에 따른 논란잠재우기…정치쇼" 지적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일대와 청와대에 맑은 하늘이 펼쳐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세종=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충청권 지방자치단체와 정치권을 중심으로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 유치를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됐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대통령 집무실의 광화문 이전이 사실상 무산되면서 가장 현실 가능한 대안으로 세종집무실이 유력한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광화문 대통령 시대 위원회 유홍준 자문위원은 “대통령 집무실을 현 단계에서 광화문청사로 이전할 경우 청와대 영빈관, 본관, 헬기장 등 집무실 이외 주요기능 대체부지를 광화문 인근에서 찾을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면서 “청와대 개방과 집무실 광화문 이전은 광화문 광장 재구조화 사업이 마무리된 이후에 장기적인 사업으로 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의 주요 대선 공약 중 하나인 대통령 집무실의 광화문 이전이 사실상 백지화되자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등 야당은 일제히 대통령의 공식적인 사과와 함께 청와대 차원의 대안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또 대통령 집무실의 광화문 이전을 기대해 온 일반 국민들도 대통령의 공약 포기에 따른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대전시장 위원장과 이춘희 세종시당 위원장, 어기구 충남도당 위원장, 변재일 충북도당 위원장 등 민주당 4개 시·도당 위원장들이 20일 세종에서 연석회의를 열고, 대통령 세종집무실 설치와 자치분권, 균형발전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제공


◇민주당 충청권 4개 시·도당, 대통령 집무실 세종 설치에 공동대응

더불어민주당 충청권 4개 시·도당이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설치를 위해 공동 대응에 나섰다.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위원장과 이춘희 세종시당 위원장, 어기구 충남도당 위원장, 변재일 충북도당 위원장 등 민주당 4개 시·도당 위원장들은 20일 세종에서 연석회의를 열고, 대통령 세종집무실 설치와 자치분권, 균형발전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조승래 민주당 대전시당 위원장의 제안으로 이루어진 이번 연석회의에서 충청권 4개 시·도당위원장들은 최근 추진이 어렵게 된 대통령 광화문집무실 대신 이를 세종시에 설치하는 방안을 중점 논의했다.

이와 함께 이해찬 민주당 대표가 대표발의한 국회법 개정안의 원만한 처리를 통해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의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하는 등 국회 세종의사당의 차질 없는 건립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키로 했다. 이를 위해 이 대표에게 보내는 대통령 세종 집무실 설치에 관한 공동청원서를 채택했다. 공동청원서에는 “국정 운영 효율성을 확보하고 국가균형발전을 열망하는 국민적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대통령 세종 집무실 설치가 절실하다”며 “새로 건립되는 정부세종 신청사에 대통령 집무실을 설치,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의 동반 상승효과를 기대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조승래 위원장은 “광화문 대통령 집무실 설치 무산 이후 세종시 대통령집무실 설치에 대한 관심이 높다. 집무실 설치와 국회의사당 분원 설치야말로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완성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민주당 중앙당은 물론 청와대 내부에서도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 설치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논의조차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자칫 정치권 인사들의 구호성 외침에 그칠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민주당 한 당직자는 “여당 내 충청권 인사들이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 설치를 강하고 주장하고 있지만 정작 중앙당 차원에서는 구체적인 논의조차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면서 “청와대도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같은 추상적인 일 보다는 경제분야에 성과를 내기 위해 올 한 해 정신이 없을 것”이라며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 설치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했다.

충청권 정치권 인사들도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 설치는 대선공약 파기를 둘러싼 논쟁을 잠재우고, 충청권의 여당 지지율 하락을 막기 위한 고육책에 불과하다”며 “내년 총선을 앞두고 국가균형발전의 상징적 도시인 세종시를 둘러싼 여·야간 논쟁은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