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주택담보대출 받기 어려워진다"…건설株 `와르르`

임성영 기자I 2015.07.23 16:01:54
[이데일리 임성영 기자] 올 상반기 주택 분양시장은 정부 규제 완화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폐지로 훈풍이 불었다. 지난해 부동산 경기 침체와 해외건설 부문 손실로 최악의 한 해를 보낸 건설주도 올들어 강세를 보이며 투자자를 즐겁게 했다. 하지만 건설주는 당국의 가계부채 억제책에 휘청거리고 있다.

23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건설업종지수는 전일대비 4.02% 떨어진 147.29로 장을 마감했다. 코스피 모든 업종 가운데 비금속광물에 이어 두 번째로 하락폭이 컸다. 종목별로는 현대산업(012630)이 7.55% 떨어진 6만8600원으로 거래를 마쳤고 현대건설(000720)대림산업(000210)이 각각 5.85%, 3.61%대 하락했다. 두산건설(011160) GS건설(006360) 등도 약세로 장을 마쳤다.

기관투자가의 매도 물량이 건설업종 하락을 불렀다. 이날 기관은 건설업종에 대해 617억원 어치 매도우위를 기록했다. 연기금이 153억원, 금융투자가 112억원, 사모펀드가 157억원 규모의 순매도 물량을 쏟아냈다.

전날 정부가 발표한 가계부채 종합 관리방안이 시행되면 최근 늘어나던 주택 수요가 다소 위축될 것이라는 인식이 주가에 부담된 것으로 풀이됐다. 이선일 대신증권 연구원은 “이번 방안은 주택담보대출을 취급할 때 상환능력 심사를 강화하겠다는 것이 요지”라며 “결국 상환능력을 보는 지표인 총부채상환비율(DTI)을 강화하겠다는 의미”라고 진단했다. 그동안 DTI 규제가 완화되면서 주택시장 활성화를 이끌었던 만큼 이번 규제 강화로 주택시장 수요가 어느 정도는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라진성 키움증권 연구원은 “소득 증빙이 어려운 20~30대 젊은층과 자영업자들의 주택 매매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면서 “내년 1월부터 정책이 실효성을 발휘한다는 점에서 하반기 주택 수요가 증가한 이후 내년 정책 실행과 함께 거래절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다만 전문가들은 실수요자 중심의 분양 증가추세는 지속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정부는 가계부채 종합관리방안을 통해 주택대출을 받을 때 원금 상환을 뒤로 미루고 이자만 갚는 거치식 주택담보대출보다 원리금을 함께 갚는 분할상환을 확대하는 계획을 내놨다. 또 대출할 때 소득심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토지나 상가 등 제2금융권을 통해 주로 대출이 이뤄지는 수익형 부동산의 담보인정비율(LTV)를 60%에서 50%로 낮추는 방안도 추진한다.



▶ 관련기사 ◀
☞[마감]코스피, 강보합…외인 닷새째 '팔자'
☞[특징주]건설주, 우르르…'가계부채 종합관리대책 여파'
☞"정부 '가계부채 관리방안', 건설 업종내 차별화 계기"-한국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