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때보다 낮은 공장 낙찰가율…미환수 채권액만 15.5조 달해

정다슬 기자I 2018.02.22 16:24:58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지난해 12월 26일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던 폴리실리콘 공장이 다섯번째 유찰 끝에 감정가 1865억원의 17.16%인 320억원에 낙찰됐다. 2016년 12월 경매개시 결정이 내려진 이후 만 1년 만이다. 낙찰은 결정됐지만 선순위 채권자인 우리은행조차 채권액(1560억원)의 4분의 1도 회수하지 못했다. 이 공장에 걸린 1금융권 등기부상 채권총액만 우리은행을 포함해 3820억원에 이른다. 무려 3500억원의 빚을 회수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공업시설 평균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2006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나타났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보다 낮은 낙찰가율로 그만큼 국내 산업환경이 흔들리고 있다는 방증이다. 낙찰가율이 낮은 만큼 회수되지 않은 채권도 많아, 지난 5년간 미환수 금액은 15조 5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법원경매 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2017년 전국 공업시설 평균 낙찰가율은 65.1%를 기록했다. 공업시설 낙찰가율은 2015년 65.6%, 2016년 66.1%로 3년 연속 60%대 중반을 벗어나지 않고 있다.

공업시설 낙찰가율은 2012년까지 주거시설과 동일한 패턴으로 움직였다. 그러나 2012년 이후 주거시설 평균 낙찰가율은 6년동안 꾸준히 올라가 76.2%에서 87.4%까지 치솟은 반면 공업시설 낙찰가율은 오히려 3.0%포인트 하락했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낙찰된 경매 물건의 등기부상 채권 총액을 보면 26조 9800억원이지만 낙찰액은 11조 4000억원에 그친다. 결국 15조 5000억원은 결국 회수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같은 기간 공업시설 감정가 총액도 17조 1800억원으로 감정가에 비해서도 5조 7500억원 낮은 수준이다.

낙찰이라도 되면 그나마 다행이다. 2016년 12월 첫 경매가 열린 경남 의령군 의령읍의 공장은 두 번 낙찰됐으나 모두 낙찰자가 대금을 미납하지 않아 낙찰이 무산됐다. 한 번째 유찰될 때마다 최저매각가격이 20~30% 떨어지는 경매의 특성상 채권자가 낙찰가율 하락을 막기 위해 일부러 낙찰을 받은 뒤 대금을 내지 않는 ‘방어입찰’로 추정된다. 채권자의 가격 방어에도 이 공장은 잇달아 유찰되며 최저매각가격은 감정가(227억 6517만원)의 21% 수준까지 떨어졌다. 이 공장은 오는 3월 새 주인을 찾기 위해 ‘7전 8기’의 도전에 나선다.

이창동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조선업, 중공업 등 지방 대형 공업시설들이 경매로 넘어가고 있지만 낙찰가율이 떨어지면서 미회수 채권액이 증가하고 있다”며 “경매는 채권자가 취할 수 있는 최후의 수단인데 이를 통해서도 원활한 채권 회수가 어렵다는 이는 고스란히 금융권과 경제 전반의 부담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