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마켓인]단기차입 의존하는 한국전력…한전채 발행재개 언제?

박미경 기자I 2024.06.12 19:22:16

한국전력, 올 들어 CP 11조·전단채 18조 발행
지난해 9월 이후 원화채 발행 멈춘 상태
11~12월 만기 물량 3조원대…한전채 발행 재개 전망

[이데일리 마켓in 박미경 기자] 한국전력(015760)이 올해 들어 원화채 발행 대신 기업어음(CP)과 전단채를 적극 발행하면서 자금 조달을 이어가고 있다. 한전채 만기 도래 물량이 연말에 집중돼 있는 만큼 이르면 4분기에는 원화채 발행을 재개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다만, AAA급 한전채가 시중자금을 빨아들이는 구축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다.

[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서울 용산구 한 주택가에 설치된 전력량계.
12일 본드웹에 따르면 올 들어 이날까지 한국전력의 CP 총발행액은 11조6500억원, 전단채 총발행액은 18조9300억원으로 집계됐다. 발행 잔량으로는 CP 6조1000억원, 전단채 6조2100억원에 달한다.

한전이 한전채 대신 단기채권 발행을 늘린 이유로 시장 우려를 고려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AAA급 우량 신용도를 가진 한전채 발행이 늘어나게 되면 일반 기업 회사채 등 크레디트물로 가야 할 수요까지 흡수하는 구축효과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2022년 한전채는 31조8000억원대의 발행 물량을 쏟아냈다. 이후 시중 자금을 흡수해 자금시장 경색을 유발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기도 했다. 이에 따라 지난 1월에는 글로벌 시장으로 눈을 돌려 12억달러 규모 외화채를 발행했다.

시장에서는 한전이 원화채 발행에 나서는 시점에 대해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한전은 지난해 9월 마지막으로 원화채를 발행을 멈춘 상태다. 다시금 한전채 물량이 증가할 경우 하위 크레디트물 수요를 잠식할 수 있어 수급 점검이 필요하다는 관측이다.

한전법에 따르면 한전은 자본금과 적립금을 합한 수치의 5배까지 채권을 발행할 수 있다. 영업적자로 발행한도가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자 한전은 지난해 12월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남부발전 등 6개 발전 자회사로부터 3조2000억원 규모 중간배당을 받으며 발행한도를 90조원 수준으로 늘렸다. 현재 한전의 사채발행한도 잔액은 7조원 가량 여유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원화채 만기 물량은 월 1조원대에 달한다. 다만 오는 11월과 12월에는 만기 물량이 3조원대로 늘어나 한전채 발행 재개가 전망된다.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하향 안정세, 꾸준한 전기요금 인상, 비용 절감 등에 힘입어 작년 3분기 이후 연결기준 영업흑자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발행 규모가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지난 2022년 하반기부터 대체투자가 위축되면서 채권투자로 전환돼 기관 자금, 리테일의 채권 투자 확대 등이 모여 견고한 수요 기반을 형성하고 있다”며 “한전채 발행이 증가해도 소화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은 별로 없어 보인다”고 덧붙였다.

(자료=한국전력공사)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