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시재생 추진 13곳에 최대 500억 지원

박태진 기자I 2015.11.19 14:09:34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 도계위 심의 통과
서울역·창동상계 등 13곳 도시재생 법적 기준 마련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서울 창동·상계와 세운상가, 서울역 일대 등 서울시가 도시재생을 추진하는 13개 지역에 최대 500억원까지 공공지원이 투입된다.

시는 서울의 첫 도시재생 법정 계획인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이 지난 18일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고 19일 밝혔다. 도시재생사업을 법적 근거에 따라 추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서울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선도모델 13곳 현황 [자료=서울시]
시는 지난 3월 도시재생 종합플랜을 발표할 때 대상지로 선정된 27곳 중 우선 추진할 13곳을 추렸다. 이들 지역은 인구 감소와 산업이탈, 건축물 노후화 등이 심각한 곳이지만 사람 중심의 서울 도시재생 철학이 담겨 있고, 주민 공동체 등 인프라를 갖춰 선정 기준을 통과했다.

이 지역은 도시재생 유형별로 경제기반과 근린재생 중심지, 근린재생 일반으로 나눠졌다.

경제기반으로 도시재생을 추진하는 곳은 MICE(회의·컨벤션·전시 등)산업 확충, 지역의 일자리 창출 등을 목표로 한다. 경제기반으로 도시재생이 추진되는 곳은 서울역 역세권과 창동·상계 일대다. 서울역 근처는 거대 역세권을 형성하고 있다. 주변에는 기업들이 들어서 있고 쇼핑몰, 대형마트 등도 모여 있다. 창동·상계는 대규모 시설 이전 예정지역이다. 시는 이곳에 대규모 음악공연장 ‘서울 아레나’를 건립한다는 계획이다.

근린재생 중심시가지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삼는다. 세운상가는 문화·관광과 연계해 도심산업을 키워나간다. 낙원상가는 주변 지역 역사성과 전통산업을 연계한 명소로 만든다. 장안평은 자동차 유통업의 메카로 키워갈 계획이다.

이밖에 나머지는 주거 중심의 근린재생 일반 지역으로 구분됐다. 이들 지역은 공동체 회복과 지역특색 강화를 추진한다. 예컨대 가리봉 일대는 G-valey(서울디지털산업단지)와 연계한 주거환경개선을, 해방촌은 남산과 다문화를 활용한 지역 명소화를 각각 계획했다.

시는 이번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비용 및 프로그램을 지원하기로 했다. 13곳은 4~5년에 걸쳐 100억~500억원 규모의 공공지원을 받게 된다. 이는 지역역량강화사업, 앵커시설 확충 등 마중물 사업에 쓰일 예정이다.

또 도시재생이 주민을 주축으로 이뤄지는 만큼 이들에 대한 다양한 교육도 실시한다. 시는 재생지원센터를 통해 주민아카데미, 도시재생 전문가 양성, 도시재생 마을학교 등의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주민아카데미에서는 도시재생 우수사례 지역 답사, 주민의 토론 등이 이뤄진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도시재생 법정계획이 최종심의를 통과해 관련 사업의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며 “향후 지역별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담은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차질 없이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