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선정 착수..9인 구성(종합)

김상윤 기자I 2017.07.07 17:19:02

위원장, 국무총리가 임명..중립적 인사
위원, 24명 중 비토권 적용해 8명 선정

부산 기장에서 열린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 시위. (사진=연합뉴스)
[세종=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국무조정실은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를 위원장을 포함 총 9인으로 구성하기로 하고 위원 선정 절차에 착수했다.

국무조정실은 7일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하기 위한 원칙과 절차를 확정하고 위원 선정 절차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공론화위원회는 위원장을 포함 총 9인으로 구성하며, 위원장은 중립적이면서도 사회적으로 덕망 있는 인사를 국무총리가 위촉한다.

위원장을 제외한 위원은 △인문사회 △과학기술 △조사통계 △갈등관리 분야에서 각 2인씩 뽑는다. 공론화 진행을 중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인사를 중심으로 뽑겠다는 방침이다.

위원 선정 절차는각 분야별 전문 기관·단체의 추천을 받아 1차 후보군을 구성한 뒤, 원전에 관해 찬성·반대 입장을 갖는 대표 기관·단체에게 `비토권`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국조실 관계자는 “사회적 합의를 보다 원만하게 이끌어내는 역할을 하도록 원전 찬·반 양측 모두가 수용할 수 있는 인사로 구성하기 위해 이런 방식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국조위는 4개 분야별 두 곳의 전문 기관·단체로부터 원전 관련 중립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인사를 각 3인씩 추천을 받아 최대 24인의 위원 1차 후보군을 구성한다.

기관·단체별 추천 인원 3인 중 여성을 1인 이상 포함하되, 특히 인문사회, 과학기술 분야는 기관·단체별로 20~30대 1인을 포함해 추천받을 계획이다. 24명중 제외 인원을 제외한 뒤 총 9명을 국무총리가 선임, 위촉하는 방식이다.

공론화위원회는 위원장과 위원을 위촉한 날부터 3개월간의 공론화 활동에 들어간다. 이들은 공론화 과정을 설계하되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과 관련한 결정권을 갖지 않는다. 결정권은 갖고 있는 시민배심원단을 지원하며 국민과 소통하는 역할을 한다.

신고리 건설재개

- "탈원전 로드맵 확정..태양광·풍력 신재생에너지 성장 전망" - 원전 21기 단계적 감축 확정..野 "갈등의 씨앗 될 것" - 원전 수출 장려에 고무된 두산重…태양광도 '환영'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