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민주주의’ 강조한 文, ‘자유’ 더한 尹… 시간차 4·19 참배

이정현 기자I 2022.04.19 15:52:45

다른 시간대 4·19 민주묘지 찾아 엇갈린 행보
SNS에서, 기념식에서… 4·19 의미 부여 및 유공자 예우 약속
문 대통령 “민주주의 확장해야”… 윤 당선인 “자유민주주의 가치”

[이데일리 이정현 박태진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9일 4·19혁명 62주년을 맞아 희생자를 추모하고 유가족을 위로했다. 두 사람은 서로 다른 시간대에 참배하며 마주치지 않았다. 4·19 혁명 정신을 되새기고 유공자 예우도 한목소리를 냈으나 표현은 다소 달랐다.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전 서울 강북구 국립 4.19 민주묘지 기념탑에서 분향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7시55분쯤 서울 강북구 수유동에 있는 국립 4·19 민주묘지에 방문해 약 9분간 참배했다. 유영민 비서실장, 이호승 정책실장 등 참모진과 함께했다. 이에 반해 윤 당선인은 같은 장소에서 11시에 거행된 제62주년 4·19 혁명 기념식에 참석했다. 문 대통령이 기념식에 참석하지 않은 만큼 두 사람은 마주치지 못했다.

두 사람이 마주하진 못했으나 4·19혁명에 의미를 부여하고 유공자에 대한 예우를 강조하는 데엔 한목소리를 냈다. 문 대통령은 기념식에 참석하지 않은 만큼 SNS를 통해 메시지를 냈다. 윤 당선인은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했다.

문 대통령은 페이스북에 “‘강산이 다시 깃을 펴는 듯했다’는 감격의 말처럼, 독재에 억눌렸던 나라를 활짝 펼쳤던 국민의 함성이 들리는 듯하다”며 “4·19혁명은 국민이 나라의 주인이라는 사실을 증명하며, 부마민주항쟁과 5·18민주화운동, 6월 민주항쟁과 촛불혁명에 이르는 우리 민주주의 발전의 도화선”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4·19혁명 유공자에 대한 예우에 최선을 다했음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민주화 운동을 기리는 데 최선을 다해왔다”고 자평하면서 “2·28대구민주운동과 3·8대전민주의거를 국가기념일로 제정했고, 4·19혁명 유공자를 추가로 포상했다. 이달 들어 유공자 두 분을 새로 4·19민주묘지에 안장했으며, 4·19혁명 관련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당선인은 기념사에서 4·19 정신이 반영된 헌법 가치를 언급하며 “62년 전 오늘, 권력의 부정과 불의에 맞서 위대한 학생과 시민의 힘으로 자유를 지키고 민주주의 초석을 놓았다. 헌법 가치에 고스란히 반영된 4·19 정신은 국민 일상생활과 정부 운영의 전반에 담겨 있다”고 말했다.

이어 “4·19 정신을 잊지 않고 책임 있게 계승하는 것은 지금의 자유와 번영을 누리는 우리의 몫”이라며 “새 정부는 4·19 혁명 유공자를 예우함에 있어 한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국가가 책임 있게 나서겠다”고 약속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9일 서울 강북구 국립 4·19민주묘지에서 열린 제62주년 4·19혁명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사진=인수위사진기자단)
두 사람은 민주주의에 대한 생각도 남겼다. 문 대통령은 민주주의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당부했으며 윤 당선인은 민주주의에 ‘자유’를 더했다.

문 대통령은 “민주주의는 국민의 관심으로 성장한다”며 “정치를 넘어 경제로, 생활로 끊임없이 확장될 때 억압과 차별, 부당한 권력으로부터 우리를 지켜줄 것”이라고 말했다.

윤 당선인은 “민주주의는 자유를 지키기 위한 것이며 4·19혁명은 자유민주주의의 토대 위에 우리의 번영을 이루는 소중한 밑거름이 됐다”며 “무엇보다 국가의 주인은 오로지 국민이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살아 있는 역사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목숨으로 지켜낸 자유민주주의의 가치를 국민의 삶과 일상에서 온전히 느낄 수 있도록 소중하게 지켜나갈 것”이라며 “우리 민주주의가 고비를 맞을 때마다 나아갈 길을 밝혀준 4·19 정신을 온 국민과 함께 잊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