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탈원전에 원전생태계 무너질라’…정부, 중소협력업체 '일감' 마련

김상윤 기자I 2019.04.02 11:26:53

한수원 2030년까지 1.7조 설비보강, 예비품 발주
이달 중 ‘원전해체 산업 육성전략’ 수립
원전 기자재 업체에 선급금 지급 확대

울산시 울주군 신고리 5·6호기 건설현장.(사진=연합뉴스)
[세종=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정부가 에너지전환(탈원전) 정책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원전 기자재업체들에게 원전 유지보수 및 해체를 통해 일감을 확보할 수 있는 지원책을 마련했다. 문재인 정부 이후 추가 원전 공사가 없어 자칫 원전 생태계가 사라질 경우 기존 원전을 운영하기가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일 서울 서초구 한국원자력산업회의에서 한국수력원자력 등 원전 공기업과 두산중공업(034020) 등 원전기업 및 협력업체들과 간담회를 갖고 원전산업 생태계 유지를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했다.

이번 지원방안은 원전 신규 건설이 안 돼 물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 원전 기자재업체들이 원전 안전성 강화를 위한 유지·보수와 원전 해체 작업을 통해 계속 일감을 확보하도록 지원하는 내용이 담겼다.

우선 이들 기업이 일감을 확보하고 사업 운영이 예측 가능하도록 가동 원전에 대한 안전투자 확대 로드맵(2019∼2030)을 수립했다. 한수원은 오는 2030년까지 약 1조7000억원 이상의 설비보강, 예비품 발주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수원 납품과 수출에 필요한 국내·외 인증을 얻거나 유지하는데 소요되는 비용도 늘리고 지원대상도 확대했다.

보조기기와 예비품 등 기자재를 생산하는 중소·협력업체들의 독자적 해외 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중국, 러시아 등 해외인증까지 지원범위를 확대하는 방안도 추가로 검토 중이다.

아울러 정부가 미래 원전산업의 먹거리로 제시한 원전 해체사업에 진출하기를 희망하는 업체들에는 고리1호기 해체공정 정보를 오는 12월까지 공개할 예정이다.

이달 중 ‘원전해체 산업 육성전략’을 수립하면서 해체 전문기업 확인·추천제도도 마련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자금난을 겪는 원전 기자재 업체들을 위해 선급금 지급 확대 등 금융지원도 확대한다.

올 하반기 혁신성장펀드를 500억원 이상 규모로 조성해 원전 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과 해체·소형원전 등 신규분야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 등에 투자할 예정이다.

이외 에너지전환 시대의 원자력 연구개발(R&D)에 대한 중장기 이행방안(Nu-tech2030)을 다음달까지 수립하고, 한수원 R&D 예산을 향후 5년간 70% 이상 확대해 연평균 1415억원으로 늘린다.

신고리 5·6호기에 적용되는 주요 원자로 설비(원전계측제어시스템, 원자로냉각재펌프 등)의 예비품에 대해 발주일정을 당초 계획보다 2년 앞당긴다.

주영준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정부는 원전의 안전운영에 필요한 산업생태계를 유지한다는 정책적 의지가 확고하다”며 “원전기업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주기적인 실태조사 및 애로사항 파악을 통해 기업의 어려움 해소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