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올해 김 생산량 전년比 6% 늘어…"11월부터 김값 하락세 예상"

권효중 기자I 2024.06.10 18:36:12

올해 김 최종 생산량, 전년比 6%↑ 1억4970만속
생산 호조에도 수출 인기 높아져 1만원대 돌파, 고공행진
10월부터 추가 생산…"11월부터 가격 하락세 예상"
내년 생산량, 올해 대비 7.3% 늘어난 1억6000만속 전망

[세종=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올해 마른 김 최종 생산량이 지난해 대비 6% 증가한 1억4970만속(1속=김 100장)으로 집계됐다. 해양수산부는 생산 증가에도 불구, 지속적인 수출 수요 증가로 인해 가격 강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생산이 재개되는 올해 10월까지 필요한 원초가 확보됐고, 2025년에도 생산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추가 가격 상승 가능성은 적다고 전망했다.

(사진=연합뉴스)
해수부는 마른 김을 기준으로 한 2024년 김 최종 생산량이 지난해(1억4126만속) 대비 6% 증가한 1억4970만속으로 집계됐다고 10일 밝혔다. 올해 햇김은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5월까지 생산된 물량이다.

생산은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였지만, 중국과 일본 등 주변국의 생산 부진, 세계적인 K-푸드와 김의 인기로 인해 수출 수요가 덩달아 증가하며 김의 산지 가격은 오름세를 보였다. 이에 김의 도매 가격과 소비자 가격은 3월부터 오름세를 보이며 지난달 초까지 강세를 보였다.

정부는 김 가격 안정화를 위해 지난 5월부터 김에 대한 할당관세를 시행하고 수산물 할인 품목에 김을 포함했다. 지난달 13일부터는 정부 합동 김 유통질서 현장점검반을 운영했다. 또 올해 10월부터 즉시 김 생산이 가능한 축구장 약 3800개 면적의 양식장 2700㏊(헥타르)를 개발해 수급 안정화도 추진하고 있다.

농수산물유통정보(aT)에 따르면 중도매인 판매가격 기준 2월 1속당 7809원이었던 김 가격은 3월 9358원, 4월 1만원대를 넘겨 1만413원까지 올라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이후 5월에는 상승세가 둔화돼 5월 20일 이후로는 1만700원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마른김 소비자가격 역시 5월 3주차 기준 1만2000원 수준에서 관리되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내년 김 생산량은 신규 양식장 개발과 높은 수요에 따른 생산시설 증가에 따라 올해 대비 7.3% 늘어난 1억6000만속으로 전망됐다. 이에 김의 도매가격은 생산 증가 영향으로 오는 11월부터는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는 예상이다.

해수부는 유통질서 현장 점검을 실시한 결과 많은 업체에서 김 생산이 재개되는 오는 10월까지 필요한 원초를 확보했다고 파악했다. 최근 가격 동향과 KMI가 내놓은 가격 전망 등을 고려하면 현 수준에서 가격이 추가로 뛰지는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생산이 재개되는 오는 10월까지 내수 공급 확대를 위해 현장과 긴밀하게 소통하고, 유통질서 현장 점검에서 부당한 가격교란 행위가 발견되면 엄정히 대처할 것”이라며 “김 수급 안정화 방안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