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HMM, 경기침체·운임하락에 2Q 영업익 전년비 94.5%↓

하지나 기자I 2023.08.10 17:22:53

영업익 1602억..매출액 57.7% 줄어든 2.1조
코로나 이전 2019년과 비교시 실적 개선
"운영효율화 등 비용절감..탑티어 경쟁력 지속"

[이데일리 하지나 기자] HMM은 글로벌 경기 침체 및 운임하락 등의 영향으로 2분기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HMM은 올해 2분기 영업이익 1602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94.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조1300억원, 당기순이익은 3128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57.7%, 89.3% 줄었다.

HMM 관계자는 “지난 2020년~2022년 코로나19 팬데믹 이슈가 해소되면서 올해부터 글로벌 해운시장의 운임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정상화 됐다”면서 “또한 올해는 글로벌 경기 침체, 운임하락 등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지만, 그동안 친환경 선박 및 초대형선 투입으로 체질개선에 성공하면서 글로벌 선사 중 탑클래스 수준의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HMM 상반기 순이익률은 14.5%를 나타냈다.



특히 코로나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실적이 크게 향상됐다. HMM의 주력 서비스인 미주(서안) 노선의 경우, 2019년 상반기(1610) 보다 2023년 상반기(1346)에 더 낮은 운임이 기록되고 있지만, 실적은 큰 폭으로 개선됐다.

회사측은 컨테이너부문과 관련해 미국 경제 불확실성 상존과 소비시장 수요 회복 지연으로 단기적 급격한 공급 변화는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시황과 연계한 서비스 합리화, 신규항로(FIM 노선) 개설 등 항로·지역별 수급 변화에 맞춰 최적의 운송서비스망을 구축하고, 사업 다각화 및 신규 수익 창출에 주력할 방침이다.

벌크부문에서는 탱커(Tanker)의 경우 OPEC, 산유국 추가 감산 합의에 따라 중동 지역 물동량 감소가 예상되지만 신조선 유입 감소로 인해 안정적 선복 공급이 예상되고 있다. 또한 동절기 수요 증가에 따른 4분기 이후 원유 수요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HMM 관계자는 “운영효율 증대, 단위운송비 등 비용절감 방안을 더욱 정교화해 글로벌 탑티어 수준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해 나갈 방침”이라면서 “더불어 전세계 해운업계의 최대 관심사인 환경 규제에 대비한 투자를 비롯해 차별화된 해운 서비스, IT 시스템 개선 등 ESG 경영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미래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