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마켓인]횡보하는 회사채 금리…하반기 전망은?

박미경 기자I 2024.06.05 19:50:33

크레딧 스프레드 42bp…연중 최저 수준
금리 인하 기대감…수급불균형 상황도 이어져
하반기, 초우량물 은행채·공사채 발행 증가 예상

[이데일리 마켓in 박미경 기자] 회사채 투자심리를 가늠할 수 있는 크레딧 스프레드가 연중 최저 수준에서 횡보세를 이어가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과 수급 불균형 등의 이유에서다. 다만, 하반기에는 초우량물인 은행채와 공사채의 발행 증가가 예상돼 크레디트물 수급이 불리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5일 본드웹에 따르면 이날 오후 기준 AA-등급 기준 회사채 3년물 금리에서 국고채 3년물 금리를 뺀 크레딧 스프레드는 42.2bp(1bp=0.01%포인트)로 집계됐다. 연중 저점을 경신한 상태에서 횡보하는 상황이다.

올해 초 74bp 수준에서 30bp 이상 하락한 수치로, 연초효과로 기관들이 자금 집행을 재개하는 1~2월보다 오히려 크레딧 스프레드가 축소됐다. 통상 크레딧 스프레드가 축소되면 기업의 자금조달 환경이 좋아져 기관투자자들의 채권 투자 수요가 늘어나게 된다.

연내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한 데다, 회사채 시장 내 수요(투자자)보다 공급(크레디트물)이 적은 수급불균형 상황이 이어지면서다. 실제로 대기성 자금인 머니마켓펀드(MMF) 수탁고가 209억7767억원으로 집계되는 등 시중 유동성이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강세폭은 이전보다 제한적인 모습이다. 스프레드가 한계치까지 좁혀져 있어 이전보다 회사채 메리트가 다소 떨어졌기 때문이다. 회사채 시장은 수요예측 과정에서 업종과 기업별 펀더멘털에 따라 미매각이 이어지기도 했다.

지난 3일 이지스자산운용(A-)은 일부 트렌치(만기)에서 미매각이 발생했다. 부동산 PF 관련 우려가 높은 시장 상황을 반영해 1년물에 연 6.5~7.0%의 높은 희망 금리 밴드를 제시했으나, 350억원 모집에 320억원의 주문이 들어왔다. GS건설(A)과 동화기업(A-)도 최근 미매각을 면치 못했다.

하반기에는 상반기에 비해 수급 상황이 불리해질 것이란 전망이 높다. 상반기에 발행이 저조했던 초우량물인 은행채와 공사채 발행이 늘어날 것이란 예상에서다. 오는 3분기 중에는 신생아 특례대출을 받을 수 있는 부부 합산 소득 기준이 2억원으로 높아지는 등 디딤돌, 버팀목대출 등 정책성 대출상품의 수요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상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2024~2025년에는 주택저당증권(MBS)과 한전채를 중심으로 한 부동산·에너지 공기업들 채권의 만기가 집중돼 있다”며 “부동산·에너지 공기업 중심 채권 발행이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하반기 신용스프레드는 연저점 수준에서 소폭 반등한 이후 제한된 범위 내에서 안정적 흐름을 지속할 전망”이라며 “상반기 시장을 강세로 이끌었던 풍부한 시중 유동성 효과가 하반기에도 여전히 주효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