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청년일자리대책]서울시 ‘청년수당’ 전국 확대…50만원씩 6개월간 지원

박철근 기자I 2018.03.15 14:30:00

졸업·중퇴 후 2년 이내 청년 대상…월 50만원씩 6개월
취업준비 인정기준 확대…고용부 “지자체보다는 엄격할 것”
온·오프라인 청년센터 신설…청년정책 관련 접근성 제고
하반기 군산·통영에 청년센터 설립해 창업지원 등 제공

[이데일리 박철근 기자] 정부가 2019년부터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에게 월 50만원씩 6개월간 구직활동지원금을 지급한다. 청년들이 취업준비과정에서 겪는 가장 큰 애로사항인 취업준비 비용마련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다. 이와 함께 청년들의 원활한 취업준비 지원을 위해 온·오프라인 청년센터를 설치하고 청년층이 원하는 민간직업훈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훈련사다리를 신설할 계획이다.

정부는 15일 기획재정부,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청년 일자리 대책’ 가운데 이같은 내용을 포함했다.

청년구직활동지원금 개편내용. (자료= 고용노동부)
◇월 50만원씩 6개월간 지원…서울시 청년수당 ‘전국화’

고용노동부는 졸업·중퇴 후 2년 이내 청년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구직활동 지원을 위해 6개월간 월 50만원의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을 지급한다. 서울시가 2016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청년수당’을 벤치마킹해 전국적으로 적용하는 식이다. 현재 지원대상은 중위소득(가구기준) 120% 내지 150%를 두고 검토 중이다

김부희 고용부 청년고용기획과장은 “지난해 11월부터 실시한 청년들과의 간담회에서 개인적으로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며 “시기도 졸업 직후부터는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을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8월 청년희망재단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청년들은 취업준비에 가장 어려운 점으로 ‘비용마련’(26.3%)을 가장 많이 꼽았다. 고용부가 청년고용정책참여단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평균 취업준비 비용은 월 45만3000원으로 나타났다.

김 과장은 “청년구직촉진수당을 지난해 하반기부터 도입했지만 취업성공패키지와 연계해야 하고 지원대상 및 금액이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나왔다”며 “개인적으로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을 위해 취업준비영역을 최대한 폭넓게 인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지방자치단체가 인정하는 취업준비 기준보다는 엄격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청년층의 취업지원을 위해 2019년부터 월 50만원씩 6개월간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을 지급키로 했다. 서울시의 청년수당 정책을 전국적으로 확대하는 모델이다. 사진은 지난해 서울시가 개최한 청년수당 대상자에 대한 사업설명과 지원 프로그램 안내를 위한 ‘청년수당 오리엔테이션’ 모습. (사진= 연합뉴스)
◇온·오프라인 청년센터 신설…취업정책 접근성 제고

고용부는 올해 온·오프라인 청년센터를 만들어 취업정책 안내부터 취업상담까지 청년층의 접근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김 과장은 “청년층은 고용부와의 간담회에서 채팅이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상담을 원했다”며 “많은 청년관련 정책 중에 나에게 맞는 정책을 찾기 쉽도록 검색서비스를 강화하고 전국의 청년공간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알려주기 바랐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고용부는 올해 하반기 중에 온라인 청년센터(www.youthcenter.go.kr)을 구축해 일자리·금융·주거 등 채팅 상담을 제공키로 했다. 온라인센터에서는 연령이나 재학 여부 등 개인별 상황을 입력하면 관련 정책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전국 청년공간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지도 및 온라인 예약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전국 17개소에 오프라인 청년센터도 설치한다.

김 과장은 “고용복지플러스센터와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유휴공간을 적극 활용해 청년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 위주로 설치할 것”이라며 “이곳에는 스터디룸, 휴식공간 등을 제공하고 일자리상담과 취업 특강 등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조선업 및 한국GM 구조조정 여파로 고용위기지역 지정이 예정된 전북 군산과 경남 통영지역에도 청년센터를 설치, 해외진출 집중교육과 창업지원 등을 한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직업능력개발 확대를 위해 민간이 실시하는 고급훈련에 청년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훈련사다리’제도를 신설할 예정이다.

김 과장은 “청년이 선호하고 취업률 및 취업시 임금수준이 높은 과정을 발굴해 올해 200명을 지원할 계획”이라며 “소득수준을 고려해 훈련비를 차등 지급하고 청년들이 부담하는 부분은 일정부분 융자지원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