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美, 기밀문건 유출자 색출 나서…"내부자 소행 가능성도"

김겨레 기자I 2023.04.10 16:05:38

"미 정부만 보유했던 정보도 포함…내부 유출 가능성"
우크라 사상자 조작…러시아 배후 가능성도 배제 못해
美 국방부 "유출 문건 유효성 계속 검토·평가중"

[이데일리 김겨레 기자] 미국 정부가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기밀문서를 소셜미디어(SNS)에 유출한 범인 색출에 나섰다. 우크라이나의 반격작전 계획부터 동맹국들에 대한 도·감청 사실까지 민감한 내용을 담고 있는 만큼 러시아가 유력한 배후로 꼽힌다. 하지만 미 정부가 외부에 공개하지 않은 정보도 포함돼 있어 내부자 소행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미국 국방부(펜타곤) 모습. (사진=AFP)


로이터통신은 9일(현지시간) 미 국방부와 정보기관들이 기밀문건 유출의 출처를 밝히기 위해 조사에 나섰다고 전하면서, 범인이 미국인일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고 보도했다. 유출된 문서가 우크라이나뿐 아니라 중국, 중동, 인도·태평양 등지의 다양한 정보를 다루고 있는데다, 미 정부만 보유하고 있던 정보가 포함돼 있어서다. 미 국방부 관료 출신인 마이클 멀로이는 로이터에 “유출된 많은 문건이 외부에 제공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미국 내부에서 유출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현재 미 국방부와 정보기관들은 기밀 정보가 내부적으로 어디까지 공유됐는지 살펴보고 있으며, 단순히 조직에 불만을 품은 내부인부터 미국의 안보를 해치려는 적극적인 의도를 가진 위협 세력까지 4∼5가지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밀문건이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정보를 주로 다루고 있는 만큼 러시아 역시 용의선상에 올랐다. 일부 문건은 내용이 임의로 수정된 것이 확인됐는데, 이 과정에서 러시아의 개입·조작 가능성이 거론된다. 러시아군 사망자 수가 줄어든 대신 우크라이나군 전사자 수가 늘어난 것으로 명시했다는 점이 주요 근거로 꼽힌다. 하지만 이 사실만으로는 러시아가 배후라고 보긴 어렵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이에 미 당국자는 “아직은 조사 초기 단계”라며 “친러 세력이 개입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전날 뉴욕타임스(NYT) 등 미 언론들은 SNS를 통해 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대한 미 정부의 기밀문건이 유출됐다고 보도했다. 유출된 문건에는 김성한 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과 이문희 전 외교비서관이 우크라이나에 포탄을 지원하는 방안을 두고 고심하는 대화도 포함됐다. NYT는 이 문건이 미 정보당국이 전화 및 전자메시지 도청에 사용하는 ‘신호정보’(SIGINT·signals intelligence)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면서, 미국이 한국을 감시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한국뿐 아니라 영국, 이스라엘 등 미국의 다른 동맹국들과 관련한 내용도 포함돼 파문이 확산하자, 미 국방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SNS에서 유포되고 있는 민감하고 극비인 자료가 포함된 것으로 보이는 사진 문서의 유효성을 계속 검토하고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