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현대차, 사내하도급 정규직화 잠정합의

이승현 기자I 2015.09.14 17:15:33

울산공장 하도급 포함 총 6000명 정규직 전환
"현대차 사내하도급 문제 해결 가능"

[이데일리 이승현 기자] 현대자동차는 현대차노조 울산 하청지회와 사내하도급 업체대표, 금속노조, 현대차노조 지부와 함께 14일 사내하도급 정규직화 특별협의에서 잠정합의를 이뤄냈다고 밝혔다. 이로써 현대차 사내하청 총 6000명은 2017년까지 정규직으로 전환될 전망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8월 아산·전주 하청지회와의 합의에 이에 이번에 울산하청지회와 특별협의에 합의했다. 그동안 갈등을 빚은 사내하도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노사는 올해 말까지 4000명을 고용키로 한 기존 합의에 더해 이번에 2000명을 추가했다. 기능인력 우대 차원에서 사내하도급 경력인정 범위도 지난해 합의안보다 확대하기로 했다.

또한 2018년부터는 정규직 인원소요 발생 때 하도급 인원을 일정비율로 고용해 문제가 된 모든 사내하도급 근로자들을 사실상 정규직으로 고용키로 했다.

현대차 노사는 쌍방 합의에 따라 모든 민형사상 소송을 취하하고 업체 해고자의 경우 본인이 원하면 해당업체에 재취업을 알선하고 향후 특별고용 때 불이익을 주지 않기로 했다.

현대차는 이번 합의로 2010년 대법원 판결 이후 사내하도급 문제를 둘러싼 극심한 노사갈등이 해소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아울러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이라는 정부와 사회적 요구에 적극 부응해 사회 양극화 해소에도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합의 주체들이 법 판결에 앞서 사내하도급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고 노사갈등 해소 및 상생과 발전을 위한 대승적 차원에서 결단을 내렸다는데 의미가 있다”면서 “사내하도급 근로자들을 별도의 직군전환이 아니라 기존 정규직과 차별없이 채용키로 한 것은 국내 산업계가 직면한 사내하도급 문제의 모범적 해결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 비정규직 노조는 이번 합의안을 조합원에게 설명한 뒤 찬반투표를 거쳐 최종 수용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14일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아반떼룸에서 열린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특별협의’에서 윤갑한 사장과 김성욱 비정규직 지회장, 이경훈 노조위원장, 서쌍용 금속노조 부위원장이 잠정합의안을 도출한 뒤 서로 악수하고 있다. 현대차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