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與 최고위원 도전한 박용찬 “무너진 당 시스템 재건에 앞장”

김기덕 기자I 2024.06.25 16:59:10

이데일리TV '신율의 이슈메이커' 인터뷰
국민의힘 7·23 전당대회 최고위원 출마
봉사 시스템 구축·당원소통국 신설 등 공약
“당 대표 결선투표 가능성…원외 투표가 변수”

[이데일리 김기덕·이데일리TV 이혜라 기자] 박용찬 국민의힘 서울 영등포을 당협위원장은 7·23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 출마를 결심한 가장 큰 이유로 ‘절박함’을 꼽았다. 보수당에게 절대 열세인 서울 지역 당협위원장을 5년간 맡으며 굳은 일을 마다하지 않았던 그는 현 시점이 무너진 당의 시스템을 재건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지난 24일 이데일리TV ‘신율의 이슈메이커’에 출연한 자리에서 “우리 당은 지금 재건하지 않으면 이제 다시 기회가 없을 정도로 초비상인 상황”이라며 “앞으로 선거가 없는 2년 동안 무너진 기본을 다시 회복하고, 현장에 진지를 구축해 민심과 가까워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지난 2019년부터 서울 영등포을에서 당협위원장을 맡았다. 언론사 기자 출신인 그는 직접 당협위원장에 공모해 21·22대 총선에 나섰지만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연이어 패배했다. 특히 지난 22대 총선에서는 안정적인 지역구 관리를 바탕으로 각종 여론조사에서 앞서는 결과를 보였지만, 선거 막판 불어닥친 정권심판론에 결국 1%포인트 차로 석패했다.

박 위원장은 “지난 총선 당시에 우리 당은 스스로 우군을 걷어차 버렸다”며 “정말 거대한 그룹이자 표심인 군심(군인들의 민심)과 의심(의사들의 민심)을 무시한 결과”고 지적했다. 이는 윤석열 정부에서 수해 복구 작전 도중 순직한 채 해병 사망 사건을 둘러싼 사회적 논란과 의료 개혁 추진 과정에서 불거진 의정 갈등을 언급한 것으로 해석된다.

박 위원장은 당의 재건을 위해 현장에 탄탄한 진지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좌파를 보면 시민단체, 사회적 기업, 사회적 협동조합 등 오랜 세월 구축한 좌파 생태계가 존재하는데 우리 당은 아무 것도 없다”며 “전국에 봉사활동 인구가 1500만명에 달하고, 이 중 실제 활동인원이 200만명으로 추산되는데 이들을 ‘봉사의 힘’이라는 거당적 봉사조직으로 만들어 소외된 이웃을 도와주는 선량한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또 △당원 소통국 신설 △원외 당협위원장 160여명을 활용한 당 지도부 구성 △공정한 선거제도 시스템 개혁 등을 최고위원 출마 공약으로 제시했다. 그는 “우리 당이 현역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지만, 우리 당의 국회 의석수는 108석밖에 되지 않는다”며 “160여명의 현장 전문가들에게 당 주요 보직을 맡기는 등 골고루 인재를 등용하는 시스템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다음달 23일 치러지는 당 대표 선거에서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아 결국 28일로 예정된 결선투표로 갈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했다. 그는 “당초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나경원 의원의 일 대 일 구도였다면 1차에서 결판이 날 수도 있었지만, 윤상현 의원과 원희룡 전 장관이 출마를 선언하는 등 4파전이 벌어지면서 2차 결선투표로 갈 것으로 보인다”며 “원외 당협위원장들이 조직·세력화돼 있기 때문에 이들의 선택이 커다란 변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용찬 국민의힘 서울 영등포을 당협위원장이 지난 24일 이데일리TV ‘신율의 이슈메이커’에 출연해 인터뷰를 하고 있다.(사진=이데일리TV)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