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경고등 켜진 응급의료시스템 손질 시작

이지현 기자I 2019.03.20 14:00:00

故 윤한덕 센터장 사망사건 계기 시스템 개선나서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민·관 합동 응급의료체계 개선 협의체가 출범한다. 고(故) 윤한덕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의 사망사건을 계기로 응급의료 시스템 전반을 손보기 위해서다.

보건복지부는 강도태 보건의료정책실장과 중앙응급의료센터를 운영 중인 국립중앙의료원 정기현 원장이 협의체 공동 위원장을 맡는 등 총 12명의 위원이 참여한다고 20일 밝혔다.

응급의료 정책 입안자, 민간 전문가, 환자단체 대표 등으로는 신상도 서울대 응급의학과 교수, 김성중 조선대 응급의학과 교수, 김윤 서울대 예방의학과 교수, 차재관 권역심뇌혈관질환 센터협의회장, 최석호 단국대병원 권역외상센터장,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 윤태호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김일수 소방청 119구조구급국장, 윤순영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장(직무대리), 임준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 지원센터장 등이 참여한다.

이번 협의체는 지난해 12월에 발표한 ‘2018~2022년 응급의료 기본계획’에 담긴 정책 방향을 토대로 주요 논의과제를 도출한 후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연내 마련할 예정이다. 협의체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현장이송단계 △병원단계 △응급의료기반 등으로 실무 분과(작업반)를 운영키로 했다.

현장이송분과는 지역 단위에서 중증응급환자를 신속하게 최적 치료가 가능한 병원으로 이송하는 방안을, 병원분과는 대형병원 응급실이 중증환자 진료에 집중하고 중소병원 응급실은 경증환자 진료에 집중하는 등 응급의료기관 종별 역할 분담 방안을 논의한다. 기반분과는 지역 간 응급의료 격차 해소 및 지역 중심의 응급의료체계 구축, 응급의료 정책지원조직으로서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역량 강화 방안 등을 다루게 된다.

윤태호 공공보건정책관은 “이번 협의체 운영을 통해 고 윤한덕 센터장이 응급의료체계 개선을 위해 생전에 고민했던 뜻을 담아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