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호정·장혜영 `운명의 날`…정의당 '비례대표 총 사퇴' 투표 시작

박기주 기자I 2022.08.31 16:20:44

정의당, 9월 4일까지 `비례대표 총사퇴 권고` 찬반 당원 투표
찬성 측 "우리에게 남은 마지막 혁신 가능성"
반대 측 "당에 혼란만 가중"

[이데일리 박기주 기자] 정의당 소속 비례대표 국회의원들의 운명이 달린 ‘당원 총투표’가 31일 시작됐다. 지난 대선과 지방선거 참패의 책임이 있다는 측과 오히려 당이 더 큰 혼란에 빠질 수 있다는 측의 주장이 맞서고 있다. 결과는 다음달 4일 발표된다.

정의당 이은주 비상대책위원장 등 의원들이 30일 국회에서 열린 2022 정기국회 주요 과제 발표 회의에서 ‘정치개혁’, ‘무주택세입자 주거권 강화’, ‘불안정 노동자 권익 강화’ 등의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왼쪽부터 심상정 강은미 이은주 장혜영 의원. (사진= 연합뉴스)
정의당은 이날부터 다음달 4일까지 온라인과 ARS, 우편 등을 통해 비례대표 총사퇴 권고 찬반을 묻는 당원 총투표를 진행한다. 당원 총투표는 권고안으로, 과반의 찬성이 나오더라도 구속력은 없다.

다만 총투표에서 찬성표가 더 많이 나와 가결될 경우 비례대표 국회의원들은 진퇴의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는 정치적 상황이 될 전망이다. 현 비례대표 의원인 류호정·장혜영·강은미·배진교·이은주 의원(비례대표 순번 순) 5명이 모두 사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 이 상황이 현실화된다면 다음 순번인 신장식 전 사무총장, 배복주 전 전국성폭력상담소협의회 대표, 이른바 ‘땅콩 회항’ 피해자인 박창진 전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동조합 대한항공직원연대지부 지부장, 과거 새누리당(미래통합당 전신)에서 활동했던 이자스민 전 의원, 양경규 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부위원장 등이 승계하게 된다.

이번 총투표의 배경에는 올해 들어 치러진 두 번의 전국구 선거에서의 참패가 있다. 정의당은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예상을 밑도는 성적표를 받아들었고, 정의당의 간판격인 비례대표들이 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것이다. 즉, 당 지지율이 떨어지고 오히려 비호감도가 올라가는 상황에서 쇄신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는 것이 골자다.

이 안건의 대표 발의자 정호진 전 수석대변인은 “앞으로 어떤 2년을 될 것인지 생각해달라. 새로운 당대표가 뽑혀도 지난 2년 동안 당을 상징해온 비례대표들이 그대로 있다면 똑같은 정의당이 반복될 것”이라며 “당의 혁신을 두고 다양한 견해가 있겠지만 당원총투표가 ‘가결’이 돼야 실체 있는 혁신의 논의가 열릴 수 있다. 우리에게 남은 마지막 혁신의 가능성”이라고 투표를 호소했다.

반대 측의 문영미 정의당 인천시당위원장은 “현 비례대표가 사퇴하면 다음번 의원들이 승계하고, 이것은 국민이나 당원들께 혁신의 모습으로 비춰지기 어렵다”며 “‘사퇴하라’가 아니라 사퇴권고안이기 때문에 결론을 강제할 수 없고, 당에 혼란만 가중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정의당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대책이 비례대표 의원의 사퇴일 수는 없다. 정체성이 약화되고, 리더십의 부재 등이 지난 10년간 누적돼 온 결과”라며 “새로운 지도부를 선출해 정체성을 새롭게 세우고 시스템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