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폭 인상"VS"가격 동결"…낙농가·유업계, 원윳값 줄다리기

김은비 기자I 2024.06.11 17:14:24

낙농진흥회, 한 달간 매주 2회씩 소위원회 개최
다음주부터 본격적 협상안 내놓을 듯
낙농가 생산비 증가에 최대폭 인상 요구
유업계·정부, 물가 부담에 동결 또는 최소폭 인상

[세종=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올해 우유 원유 가격을 정하기 위한 협상이 11일 처음 열렸다. 낙농가와 유업계는 앞으로 한 달간 매주 2회씩 소위원회를 열고 가격 협상을 할 예정이다. 다만 유업계와 낙농업계가 가격 동결과 최대 인상을 두고 팽팽한 입장차이를 보이고 있는데다, 올해 처음 음용류 생산량 조정을 위한 협상도 진행해 난항이 예상된다.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우유를 고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1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낙농진흥회는 이날부터 원윳값 협상을 위한 소위원회를 처음 개최했다. 소위원회는 유업계 대표 3명, 낙농업계 대표 3명, 낙농진흥회 이사 1명 등 총 7명으로 구성됐다.

오후 1시부터 1시간 가량 열린 소위원회에서는 올해 원유가격 협상폭과 앞으로 진행 방식 등을 결정했다. 올해 원윳값은 0원에서 최대 26원까지 인상할 수 있다. 현재 ‘원유의 사용 용도별 차등가격제 운영 규정’에 따라 사료비 비중이 60% 이하인 경우, 생산비 증가분(44원)의 -30~60% 범위 내에서 가격을 올릴 수 있다. 지난해 사료비는 588원으로 18원 올랐기 때문에, 생산비 증가분에서 비중은 40.9%로 이에 해당한다.

낙농진흥회는 한 달 간 매주 2회씩 회의를 열고 가격 협상을 할 예정이다. 별다른 진척이 없으면 기한을 연장할 수 있다. 소위원회에서 협상 결과가 도출되면 낙농진흥회 이사회 의결을 거친 뒤 최종 확정된 원유 기본 가격이 오는 8월1일부터 적용된다. 각 유업체는 인상 폭을 토대로 제품 가격을 다시 산정한다.

아직 양측이 구체적인 협상안을 내놓진 않았지만, 올해도 큰 이견차가 예상된다. 낙농계에서는 매년 사룟값 등 생산비 증가를 이유로 상당 폭의 인상이 불가피 하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올해도 최대폭인 26원을 인상하더라도, 생산비 증가분의 60% 밖에 안되는 만큼 최대폭 인상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유업계에서는 이미 3년 넘게 가격이 오르만큼 올해 만큼은 가격 동결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고물가 상황을 고려해 최소 인상을 얘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원윳값이 잇달아 오르면서 우유를 원료로 하는 치즈, 발효유 등 유제품 가격도 잇달아 오르는 ‘밀크플레이션’(우유+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물가 부담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원윳값은 ℓ당 8.84% 오른데 따라 우유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9.9%나 올랐다. 전체 물가 상승률(3.6%)도 3배 가량 웃돈 수치다.

음용류 생산량 조정도 넘어야 할 산이다. 용도별 원유량 조정은 2년마다 진행하며, 올해 처음으로 조정을 위한 협상을 진행한다. 지난해 음용유 과잉량이 5%를 초과함에 따라 이번 원유량 협상의 음용유 감축 범위는 9112~2만7337톤이다. 조정된 원유량은 내년 1월부터 적용된다.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지급하기 때문에 낙농계에서는 최소 감축을 원하지만, 유업계에서는 소비량 감소에 따라 최대한 줄이는 것을 원하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인구 구조 자체가 줄어들고, 대체할 음료도 많이 나오면서 음용류 소비량이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 관계자는 “물가 상황을 감안해, 원유 기본가격을 동결하거나 최소 수준에서 인상하도록 중재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