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27일부터 ‘기한 없는’ 휴진

이지현 기자I 2024.06.26 17:07:36

자율 기반 참여…중증·응급 진료 계속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이 27일부터 기한 없는 휴진에 들어간다. 서울대병원과 가톨릭병원에 단체 휴진 중단 또는 연기가 기대됐으나 예정된 일정대로 추진키로 한 것이다.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비상대책위원회는 “27일부터 기한이 없는 휴진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연세의료원 산하 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이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예고한 가운데 26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한 환자가 이동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 등 3개 병원이 참여한다. 휴진의 범위는 입원 병동, 응급실, 중환자실, 투석실, 분만실 및 필수유지업무 등을 제외한 비중증상태 환자의 외래진료 및 비응급 수술과 시술 등이다.

지난 12일 비대위는 전체 교수 설문을 통해 기한이 없는 휴진을 결정한 바 있다. 비대위는 무기한 휴진 이유로 정부는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필수의료패키지 정책의 일방적 발표를 들었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 의료에 전에 없던 혼란을 야기했고 이는 의료 전반에 걸친 문제라고 인식했다. 비대위는 성명서를 통해 “세브란스병원의 전공의들과 연세의대 학생들이 다른 대한민국의 전공의 및 의과대학 학생들과 같이 정부의 무책임하고 비현실적인 정책 추진에 분노하며 의료와 학업현장을 떠났다”며 “이는 불합리한 의료 환경의 근본적 개선과 실질적 변화를 촉구하는 행동”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빅5 병원중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이 무기한 휴진을 벌이기로 하면서 최근 갈등봉합 양상을 보였던 의정갈등의 골은 더 깊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실제 최근 정부와 의료계는 의정갈등 봉합을 위해 대화에 나서자는데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양측의 입장차는 아직도 매우 큰 상황이다. 이날 역시 서로 입장차만 확인한채 종료됐다.

특히 임 회장은 이 자리에서 의료공백 사태 장기화에 대해 법정단체인 의협의 수장으로 사과할 뜻이 있느냐는 질문에 “현 사태는 의사들이 만든 사태가 아니다”라며 “멀쩡하게 잘 돌아가고 있는 시스템이었고 현재 상황은 이 자리에 있는 복지부 차관과 복지부 공무원들이 만든 사태”라고 주장했다. 이번 의료공백 사태가 발생한 만큼 의사들에게는 책임이 없다는 얘기다.

이날 보건복지부 증인으로는 박민수 제2차관, 전병왕 보건의료정책실장이 참석했고 의료계에서는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 강희경 서울의대 교수 비대위원장이 참석했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불참했다.

의료계 집단행동

- 복귀 전공의 52명…사직서 수리 종료 임박에 복귀 늘까 - "아들 뇌 수술 또 미뤄져"…`무기한 휴진` 세브란스 환자들 불안 [르포] - 이상민 "갈등 해결법은 휴진 아닌 대화"…의료계 대화 참여 촉구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