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131조 넘은 부동산PF, 연체율 상승에 투자 손실까지 '경고등’

이용성 기자I 2023.07.20 19:10:52

금융권 PF 대출 연체율 2.01%…3개월 만에 0.82p↑
증권사 연체율 15.88%…해외 부동산펀드 손실 우려까지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잔액이 증가세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대출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하며 우려를 키우고 있다. 특히 증권사들의 PF 대출 연체율이 급등하며 부실에 대한 경고등이 커졌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 더해 국내 일부 금융사가 해외 부동산 대체 투자에서 대규모 손실을 낼 위기에 처하자 당국이 긴급 진화에 나섰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20일 금융감독원이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금융권의 전체의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131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3개월 이전인 지난해 12월 대비 1조3000억원이 늘어난 수치다. 지난 2020년 92조5000억원, 2021년 112조9000억원과 비교해 매년 증가 추세를 지속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PF 대출 연체율의 상승세가 가파르다는 점이다. 금융권의 PF 대출 연체율은 3월 말 기준 2.01%로 나타났다. 3개월 전과 비교해 0.82%포인트 급등했다. PF 대출 연체율이 2020년 0.55%, 2021년 0.37%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과도한 수준이라는 평가다.

특히 증권사의 PF 대출 연체율이 두드러진다. 3월 말 기준 증권사의 PF 대출 연체율은 15.88%로 업권 가운데 가장 높았다. 같은 기간 저축은행과 여신전문금융사의 연체율이 각각 4.07%, 4.20% 수준인 것과 비교하면 증권업에 대한 부실 우려가 클 수밖에 없다.

게다가 증권사의 PF 대출 연체율은 2020~2021년 3%대에 머물다가 지난해 말 10.38%로 뛰었고 3개월 만에 15.88%로 치솟았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국내 금융사가 투자한 해외 부동산 투자에서 무더기 손실 위험이 커지고 있다. 글로벌 주요 국가들이 긴축을 시도하면서 국내 금융사가 투자한 해외 부동산 가격도 떨어졌기 때문이다.

미래에셋그룹의 계열사 멀티에셋자산운용은 지난 18일 집합투자재산평가위원회를 열고 홍콩 골딘파이낸셜글로벌센터 빌딩에 투자하기 위해 조성했던 2800억원 규모 펀드 자산의 약 90%를 상각 처리하기로 결정했다. 이지스자산운용도 운용 중인 펀드가 투자한 3700억원 규모의 독일 트리아논 빌딩에 대해 임의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간 PF 대출과 연체율에 대해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는 입장을 보여온 금융 당국이 20일 증권사를 불러 리스크 관리를 지시하는 등 나선 것도 PF 대출 잔액과 연체율, 해외 투자 등 우려 요소가 동시에 악화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황선오 금감원 부원장보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증권사 PF 대출 연체율이 상승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최근에는 해외 부동산과 관련해 투자손실 문제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과도한 수준의 연체율이 지속할 경우 증권업계 전체에 대한 평판이 악화하면서 자금조달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