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합쳐서 경쟁력 키운다"…한화케미칼,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합병

김정유 기자I 2019.07.30 14:45:15

통합법인 내년 1월1일 출범, 유화·소재·태양광 사업 통합
원료+가공기술 경쟁력 시너지, 사업다각화 전략 속도낼 듯
불확실성 큰 유화사업 상쇄 위한 전략, 의사결정 단일화 장점도

자료=한화케미칼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한화케미칼(009830)이 자회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를 합병한다. 불확실성이 큰 석유화학과 집중적으로 키우고 있는 태양광, 소재 사업을 단일화해 사업경쟁력과 효율성을 키우기 위함이다.

한화케미칼은 30일 이사회를 열고 이 같은 자회사 합병을 결의했다. 소재와 태양광 사업을 영위하는 자회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를 국내사업 회사인 신설법인과 관계기업 지분보유 회사인 존속법인(한화글로벌에셋)으로 인적분할 수 신설법인을 한화케미칼이 합병하는 방식이다. 한화케미칼 연말까지 모든 합병 절차를 마친 후 내년 1월1일부로 통합법인을 출범시킬 방침이다. 사명은 내년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확정된다.

이 같은 합병 결정은 최근 석유화학 산업의 불황과 급격한 대외환경 변화 속에서 성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조치다. 한화케미칼 관계자는 “석유화학 사업의 불확실성이 큰만큼 다른 사업 영역을 하나의 회사를 통해 단일화해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의미”라며 “한화케미칼이 석유화학, 소재, 태양광 사업을 모두 영위하게 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1월 합병이 완료되면 한화케미칼 통합법인은 원료와 가공기술을 융합해 고부가 소재사업을 한층 강화해 나갈 수 있을 전망이다. 한화케미칼이 전통적인 석유화학 원료를 생산하면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이 가공 기술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P) 같은 고부가 소재를 만드는 식이다. 전·후방사업의 통합으로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또한 항공, 방산 등 미래 핵심소재 분야로의 사업 확장 기반도 마련했다.

태양광 사업 경쟁력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됐다. 이번 통합으로 폴리실리콘, 셀, 모듈, 부품 등 계열사별로 분산돼 있던 태양광 사업이 단일화돼 원가절감은 물론 협상력 강화, 시장 공동대응 등이 가능해졌다. 더불어 국제 정세 영향을 많이 받는 산업 특성상 중요한 신속한 의사결정과 대응도 손 쉬워 지면서 단일기업 차원의 통합전략도 꾀할 수 있게 됐다. 회사 관계자는 “연구기능과 의사결정 구조를 단일화하면서 회사의 경영 속도로 빨라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이번 합병으로 국내 석유화학업체 ‘빅3’ 중 하나인 한화케미칼도 업계 1위 LG화학과 같이 사업 다각화 전략에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보인다. 그간 LG화학은 석유화학과 전지, 소재 등 다양한 사업군으로 다각화를 추진해오고 있고, 2위 롯데케미칼은 순수 석유화학 사업의 덩치를 키우며 집중하고 있다. 반면 한화케미칼은 자회사들과 사업 영역을 분산시켜 다소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때문에 업계에서도 이번 합병이 성장 한계에 막힌 한화케미칼에게 새로운 활로를 제공할 것으로 보고 있다. 더불어 한화그룹내 태양광 사업을 이끌어 온 김동관 전무의 행보에도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

업계 관계자는 “이제 석유화학업체들이 오로지 석유화학 사업만 하는 시대가 가고 다양한 사업으로 불확실성을 개선코자 하는 상황”이라며 “염소 계열 석유화학 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한화케미칼과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간 합병은 태양광 사업 등에서 시너지가 클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어 “한화그룹내에서 한화케미칼은 상징적인 회사”라며 “이번 합병으로 한화큐셀을 전면에서 이끌던 김동관 전무의 향후 경영 행보에도 시선들이 따라다닐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기준으로 연결 자회사를 포함한 한화케미칼의 매출은 9조460억원이며 사업별 매출 비중은 석유화학이 41%, 태양광이 34%, 가공소재가 10%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