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김해공항 확장] 인천 영종과 제주 서귀포 주변은 얼마나 올랐나

양희동 기자I 2016.06.21 16:17:07
△2001년 3월 개항한 인천국제공항 일대 전경. [사진=인천공항공사]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동남권 신공항 건설 계획이 백지화되고 기존 김해국제공항 확장이 결정되면서 주변 부동산시장에 미칠 영향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과거 인천 영종도나 제주 서귀포 등 ‘인천국제공항’과 ‘제주 제2공항’ 건설이 결정된 지역들은 부동산 투기 수요가 몰리며 땅값과 집값이 다락같이 치솟는 등 개발 후폭풍이 거세게 몰아쳤다. 이 때문에 김해공항 인근의 부산 강서구 일대 부동산시장도 비슷한 과정을 밟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인천 영종도…1980~90년대 투기 열풍에 땅값 200배 급등

지난 2001년 3월 29일 인천 중구 운서동에 문을 연 인천국제공항은 영종도와 용유도 사이 바다를 메워 만든 해상공항이다. 내륙공항이라 24시간 운영이 어렵고 주변이 인구 밀집지역이라 확장도 불가능한 김포국제공항을 대체하기 위해 건설됐다. 타당성 조사와 기본설계는 노태우 정부 시절인 1989년부터 1992년까지 3년간 이뤄졌다. 국세청에 따르면 이 기간 영종도가 편입한 인천 중구의 한해 평균 지가상승률은 40%대에 육박해 전국 평균(16%)의 두 배를 훌쩍 넘었다. 외지인들의 거센 투기 열풍으로 1984년 3.3㎡당 5000~6000원에 불과하던 영종도 일대 땅값은 1992년엔 100만원 선으로 200배 가량 껑충 뛰기도 했다. 당시 외지인 40여명이 소유한 영종도 땅이 약 429만㎡(옛 130만평)에 달해 땅값만 4조원에 육박할 정도였다.

인천공항이 개항한 직후인 2001년에는 영종도 일대 택지의 가격이 3.3㎡당 20만~30만원, 상업용지는 450만~500만원을 호가했다. 특히 상업용지는 개항 전 분양 시점(2000년)보다 1년 만에 50% 이상 급등하기도 했다. 2006년 이후로는 송도국제도시와 청라국제도시, 영종지구 등 인천공항 일대 경제자유구역이 속속 개발돼 이달 현재 송도의 아파트값은 3.3㎡당 1279만원 선을 기록하고 있다.

◇부지 선정 전부터 땅값 들썩인 제주…전국 평균 5~8배 상승

지난해 11월 발표된 ‘제주 제2공항’ 건설 계획도 개발 기대감으로 주변 지역인 서귀초시 성산읍 일대 부동산시장을 들썩이게 했다. 제2공항 대상지 일대는 발표 2~3년 전부터 공항 후보지로 거론되면서 그 사이 땅값이 3배 가량 오른 상태였다. 해안가와 인접한 땅은 3.3㎡당 가격이 200만~300만원에 달하기도 했다. 부지 선정 직후 시세 차익을 노린 투기 수요가 몰릴 우려가 커지자 제주도는 공항 건설 계획 발표 직후 성산읍 일대 68.5㎢를 3년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 그러나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도 거래가 가능한 법원 경매에 관심이 쏠리면서 발표 엿새 후 제주지법 경매에 나온 성산읍 신풍리 662㎡짜리 임야는 31대 1이라는 높은 입찰경쟁률을 기록하며 감정가(993만원)의 4배가 넘는 4300만원에 낙찰되기도 했다. 한국감정원 자료를 보면 작년 한해 성산읍의 땅값은 12.3% 올라 전국 평균 상승률(2.4%)의 5배가 넘었고, 올해도 4월까지 6.02%가 올라 전국 평균(0.78%)보다 8배 가량 더 올랐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 전문위원은 “공항 개발은 주변 도시와의 연계 교통망도 한층 보강이 되고 관광산업 개발도 진행되기 때문에 부동산시장에선 대형 호재”라며 “김해공항 일대에도 투자 수요가 늘어 땅값과 집값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 [김해공항 확장]덩치 커지는 김해공항…대한민국 '제2의 허브' 될까
☞ [김해공항 확장]무색해진 지역갈등…강호인 장관 '장고 끝에 묘수'
☞ [김해공항 확장]서훈택 실장과 슈발리에 ADPi 수석엔지니어 일문일답
☞ [김해공항 확장]주변 부동산시장 놀라움 속 기대감 '쑥'
☞ [김해공항 확장]"두 번이나 농락했다" 밀양시민들 '분통'
☞ [김해공항 확장]서병수 시장, "'신공항 백지화'는 정치적 결정...360만 부산 시민 무시...
☞ [김해공항 확장]신공항 대신 김해공항 확장…"솔로몬의 선택"
☞ 정의당 "김해공항 확장, 당연한 결정..참으로 다행"
☞ [김해공항 확장]1976년 개장한 김해공항..제2공항으로 우뚝
☞ 김해공항 확장 주장 심상정 "박근혜 정부의 가장 책임있는 결정"
☞ [김해공항 확장] 인천 영종과 제주 서귀포 주변은 얼마나 올랐나
☞ 부산지역 의원들 “김해공항 확장 아쉽다”
☞ [김해공항 확장]강호인 장관 "김해공항 확장은 부족함 없는 대안"
☞ “신공항 백지화 및 김해공항 확장은 공정한 결정” 국토교통부 발표문 전문


영남권 신공항 `김해 확장`

- [특징주]김해공항 테마주 또 급등 - 홍준표 "김해공항 확장, 부산은 사실상 목적달성..밀양에 저가항공사 설립유도" - ‘신공항 후폭풍’ 朴대통령, TK 8.3%p·PK 5.1%p 하락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