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황영기 "모험자본 활성화 절실…대형IB 신용공여한도 증액해야"

윤필호 기자I 2017.09.21 14:43:47

"모험자본 운용주축은 증권사…은행은 적절치 않아"
"단기부동자금 1000조 갈길 잃어…모험자본 활성화 절실"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모험자본 공급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자본시장 역할’과 관련된 정책세미나가 개최됐다. 왼쪽부터 코넥스협회 김군호 회장, 서울대 고봉찬 교수, 서울대 민상기 교수, 최운열 더불어민주당 의원, 일자리위원회 이용섭 부위원장, 황영기 금융투자협회 회장, 미래에셋대우 최현만 수석부회장, 대신증권 나재철 대표, 이베스트증권 홍원식 대표. (출처: 금융투자협회)


[이데일리 윤필호 기자] 황영기 금융투자협회 회장은 21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는 종합금융투자 사업자의 기업신용 공여 한도를 100% 늘리는 내용의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계류 중이다”며 “투자은행(IB)에 모험자본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개정법안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황 회장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모험자본 공급과 일자리창출을 위한 자본시장의 역할’ 토론회에서 “모험자본 활성화를 위한 자본시장 노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며 이 같이 밝혔다. 토론회는 여야의 경제통으로 알려진 최운열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김종석 자유한국당 의원의 공동 주최로 개최했다.

황 회장이 언급한 자본시장법 개정안은 기업신용공여 한도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 기업신용공여를 자기자본 100%까지 할 수 있지만 개인신용공여(주식담보대출)도 포함하고 있다. 개정안은 개인신용공여와 별도로 기업신용공여만 따져서 자기자본의 100%까지 허용한다. 정부가 추진하는 ‘초대형IB’ 정책을 위해서는 필요한 개정안이라는 것이 관련업계의 주장이다.

황 회장은 모험자본의 운용은 증권회사가 주축이 돼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금융시장에서 가장 큰 덩치를 자랑하는 은행은 모험자본에 적절치 않다는 인식이 있다”며 “모험자본을 다루기에 공급 등의 측면에서 위험도가 높아서 은행에서 다루기 어렵다”고 언급했다. 이어 “자금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은 벤처와 에인젤 등을 통한 우리 증권회사가 주체가 될 것”이라며 “대형 증권사 중심으로 모험자본을 활발히 운용해서 정부가 원하는 혁신경제성장 이뤄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아마존을 예로 들어 모험자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황 회장은 “글로벌 기업 아마존도 설립초기 자금 사정이 넉넉하지 않았다고 한다”며 “다행히 모험자본을 통해서 900만 달러의 투자금을 모아서 사업화에 성공했고 창업 3년만에 IPO(기업공개)를 통해 상장했고 빠르게 업무영역을 확장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초창기 아마존이 모험자본 만나지 못하고 종자돈을 마련하지 못했다면 오늘날 아마존의 신화는 없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정부가 과열된 부동산 시장에 규제를 적용하면서 1000조원 가량의 단기부동산 자금이 투자처를 찾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자본시장을 비롯한 생산성 높은 투자처로 자금을 흘려보내야한다는 것에 정부와 업계가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며 “모험자본 활성화 위한 자본시장 노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