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단독]저축은행, '거짓 지라시' 뿌리뽑는다

정두리 기자I 2023.10.16 16:07:22

금감원과 협의해 악성루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온라인 주요 커뮤니티 40여곳 실시간 모니터링
악성루머 발견시 수사 의뢰 등 강경 대응키로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저축은행 업계가 근거 없는 소문으로 사실을 왜곡·호도하는 거짓 정보 유포를 막기 위해 ‘악성루머 조기탐지 시스템’을 가동한다. 앞서 OK저축은행과 웰컴저축은행이 1조원대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결손이 발생했다는 ‘지라시’로 한바탕 홍역을 치르면서 업계 전체가 가짜뉴스에 엄중 대처하겠다는 후속 조치에 나선 것이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는 지난 9월 중순부터 저축은행 관련 악성루머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운영 중이다.

중앙회 관계자는 “저축은행 업계가 지라시 하나로 손실을 입은 만큼 금융감독원과 협의를 통해 거짓정보를 미연에 방지하고 비상 상황 발생 시 대응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저축은행 업계는 악성 루머 한방에 휘청거린 전례가 있다. 지난 4월 12일 ‘웰컴, OK저축은행 PF 1조원대 결손 발생, 지급정지 예정, 잔액 모두 인출 요망’이라는 지라시가 카카오톡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순식간에 확산됐다. 실제 지라시 확산 이후 두 저축은행의 예금 잔액은 소폭 줄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금 인출 확대 조짐이 감지되자 금감원과 두 저축은행의 건전성은 양호하다고 발표하면서 사태는 진정됐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저축은행 업계는 이 같은 거짓정보가 언제든 다시 퍼질 수 있다고 보고 악성루머 모니터링 시스템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중앙회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외부 업체와 제휴를 맺고 온라인 주요 커뮤니티 40여 곳을 비롯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유튜브 등을 대상으로 매일 저축은행 관련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금융 커뮤니티는 물론 DC인사이드, 일간베스트 등 대형 인터넷 커뮤니티도 포함돼 있다.

가령 저축은행 악성루머가 발견될 시에는 해당 저축은행에 즉각 통보하고 해당 저축은행은 사실 관계 확인 후 중앙회와 금감원에 보고 및 게시물 삭제 요청을 내리게 된다. 사안이 심각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수사 의뢰 등 법적 조치에도 나설 수 있다. 중앙회 측은 “금융 관련 커뮤니티는 물론 소위 인터넷에서 유명한 커뮤니티는 전부 모니터링하고 있다”면서 “아직 악성루머로 식별된 건은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저축은행뿐만 아니라 올 들어 금융권 전반에 걸쳐 가짜뉴스 경계령이 내려진 상태다. 지난 3월에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론 인터넷전문은행인 토스뱅크가 ‘뱅크런’에 휘말릴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기도 했다. 당시 토스뱅크가 ‘선이자 정기예금 상품’을 출시한 것을 놓고 뱅크런을 막기 위해 무리하게 수신을 유치하는 수단이라는 뒷말이 나왔다. 그러나 당국은 인터넷은행의 자금조달이 소액·소매자금(예금자보호대상)으로 이뤄져 단기간 내 자금이탈 가능성은 낮다며 큰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가짜뉴스에 대해 금융권과 금융당국이 보다 강경하게 대응할 필요성이 있다고 조언한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금융 악성루머는 실제로 뱅크런을 유발시키고 그로 인해 금융시장을 어지럽힐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면서 “저축은행이 실시간 감시를 강화하고 안전장치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증시의 경우 기업들이 루머에 대한 진위 여부를 발표하는 것처럼 은행에서도 유사 제도가 도입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