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이어지는 흐린 날씨 ‘우울증 위험신호’

이순용 기자I 2017.07.06 14:43:46

최근 5년 사이 우울증 환자 6만여 명 늘어나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비가 오니 기분이 “꿀꿀하다”, “우울하다“라는 말은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하다. 이처럼 계속되는 비 소식으로 야외활동이 힘들어지고 있는 요즘 높은 습도와 흐린 날씨로 인한 의욕저하 및 무기력함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는 장마철에는 일조량이 부족해짐에 따라 활동량과 운동량 또한 저조해져 우울증에 취약한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이다.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도파민 등 뇌의 신경 전달 물질들이 이러한 환경의 영향을 받아 불균형이 초래될 수 있으며, 이런 불균형은 우울감, 무기력함, 의욕저하, 불안감, 불면 증세 등으로 나타나는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을 단순히 날씨로 인한 일시적인 증상으로 생각하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증상이 2주 이상 지속 되고 일상생활에 영향을 끼칠 정도가 되면 한 번쯤은 우울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우울증은 날씨 외에도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발생 빈도가 높은 중·장년층의 경우, 평소 우울증에 관한 기저질환이 없다고 하더라도 보다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우울증으로 병원을 찾는 전체 환자는 2012년 52만 8천여 명에서 지난해 약 57만 8천여 명으로 5년 사이 약 6만 명의 환자가 증가했다.

특히 여성 우울증 환자의 수는 약 38만 명으로 전체 환자의 약 66%를 차지해 남성 환자(약 19만 명)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도 50대 여성 우울증 환자(7만 6천여 명)가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60대와 70대 여성 순으로 나타나 중·장년층의 여성의 우울증에 대한 취약성 및 심각성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려대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한창수 교수는 “야외활동이 부족한 장마철에는 자신이 즐길 수 있는 실내 활동을 찾아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이 우울증 예방에 도움이 되고, 본인에게 적합한 마음을 다스리는 법 혹은 명상이나 스트레칭, 음악감상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심리적인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다.”며 “우울증 증상이 오래 지속되거나 심해지는 경우 스스로 해결하기보단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