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오세훈 시장 "리버버스 강동 확대 시기상조…GTX, 경전철에 기회"

함지현 기자I 2024.02.22 15:44:31

서울특별시의회 임시회 시정질의
"리버버스 확대, 상수원 보호·재원 투입까지 상당한 준비 必"
"GTX로 경전철 접는 일은 없을 것…사각지대 연결 역할"
"노선 조정 문제로 사업 늦춰지지 않을까하는 우려는 있어"

[이데일리 함지현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은 오는 10월부터 운영될 한강 수상버스인 ‘리버버스’의 강동지역 확대 요구에 선을 그었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가 자신의 공약 중 하나인 경전철 사업에 기회가 될 순 있지만, 일정이 더욱 늦춰지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뜻도 밝혔다.

오세훈 시장(사진=서울시의회 인터넷 생방송)
오세훈 시장은 22일 서울시의회 임시회 시정질의에서 강서 쪽에 국한된 리버버스 동선을 강동지역까지 확대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김영철 국민의힘 서울시의원은 한강 물길을 막아 수위를 유지하는 잠실수중보로 인해 배가 위쪽으로 올라오지 못하므로 갑거(선박 통행을 위한 수위 조절 시설)를 설치해 이 문제를 해결해 달라는 의견을 냈다.

오 시장은 이에 “상수원보호구역 관리 문제가 있는데 이 부분은 정부가 엄격하게 관리할 뿐 아니라 이 지역의 물을 음용수로 쓰는 서울·인천시민·경기도민의 의견을 듣는 절차도 필요하다”며 “잠실수중보를 위로 옮기거나 갑거를 설치하는 방안은 상당한 재원을 투입해야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강동주민이 충분한 수혜를 느낄 수 없다는 점은 안타깝지만 상당한 준비가 필요한 사안”이라며 “종합적인 검토할 시간적 여유를 달라”고 말했다.

한강변 상류권 규제를 완화해 한강변을 파크골프를 비롯한 체육시설로 쓸 수 있게 해달라는 요청도 있었다. 여기에 대해선 “한강변을 체육시설로 쓴다고 해서 상수원에 위해가 가해질 가능성은 높지 않겠지만, 한강유역환경청은 그렇게 보지 않는 듯하다”며 “강동지역에 상당한 유휴부지가 있는 만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환경부와 협의하겠다”고 답했다.

GTX로 인해 경전철 사업이 차질을 빚지 않겠냐는 문성호 국민의힘 서울시의원의 질의에는 “영향은 받겠지만 접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즉답했다. 오 시장은 “GTX는 고속운영의 특성상 촘촘히 역사를 설치하는 게 불가능할 것”이라며 “오히려 GTX가 생기면 사각지대가 뚜렷하게 부각될 것이다. 사각지대를 연결하는 경전철의 필요성이 오히려 커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GTX 노선에 따라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면서 경전철의 효율성을 어떻게 높일지를 고민하다 보면 노선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며 “기존의 사업이 늦춰지지 않을까하는 우려는 있다”고 말했다.

GTX 시대 초읽기

- 유정복 시장 “GTX-B 착공, 인천 초일류 도시로 도약” - 尹 “GTX B노선 개통시 인천 송도~서울 도심 30분대 연결” - 인천서 GTX-B 착공 기념식 열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