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디지털 뉴딜로 산업에 활력을..AI 인재 양성" 임혜숙 첫 간담회

강민구 기자I 2021.07.05 15:46:08

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간담회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에서 5만명 일자리 창출
"디지털 뉴딜로 성과내겠다"
“디지털세 내는게 맞다…28㎓ 5G 공동망은 아냐”
"탈원전 기조 유지···누리호 개량사업 예타 재도전"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남은 1년 임기 동안 디지털 대전환을 추진하겠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5일 세종청사에서 열린 첫 기자간담회에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에 674개 기업이 참여했고 5만명의 일자리를 만들었다”면서, 무엇보다 MZ 세대를 위한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데 노력하겠다고밝혔다.

사회적으로 청년 세대의 일자리 문제가 심각한 가운데,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인재를 키우겠다는 의지다.

임 장관은 앞으로도 데이터를 축적해 서비스와 산업이 활성화되도록 지원하고, 디지털 뉴딜이 민간 기업에 활력을 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 뉴딜로 성과내겠다”

임혜숙 장관은 “ICT를 전공한 사람이라 디지털 뉴딜에 애착이 크다”면서 “디지털 뉴딜을 추진한지 1주년이 됐는데 핵심 프로젝트인 ‘데이터 댐’을 중심으로 여러 성과를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 뉴딜에 집중해 성과를 내고, 소프트웨어·인공지능(AI) 인재도 적극 키우겠다고 했다.

구체적인 인력 육성 방안으로는 △소프트웨어중심대학과 AI대학원을 활용한 인재 양성 △민간교육업체 중심의 소프트웨어·AI 교육과 정부 지원 △재직자 대상 핵심 소프트웨어 교육과 학위 과정 운영을 제시했다.

그는 “민간업체에서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인력을 양성하도록 지원하고, 출연연 재직자 대상 학위 과정 운영 등을 통해 디지털 전환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미래 성장 동력 발굴에 대한 의지도 재확인했다. 그는 “시스템반도체, 우주, 탄소저감 등에 과감한 연구개발 투자로 미래성장동력을 발굴해야 한다”면서“코로나19를 여전히 극복하지 못했고, 변이바이러스가 출범하고 있기 때문에 후보물질 개발부터 백신 플랫폼 개발 지원을 강화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디지털세 내는게 맞다…28㎓ 5G 공동망은 아냐”

디지털세나 28㎓ 5G 공동망, 인터넷스트리밍방송(OTT) 관할권 같은 이슈에도 솔직하게 답했다.

그는 “디지털세와 관련해 국제 논의가 G7에서 있었고, 재무장관회의에서 논의된다니 반가운 마음이다. 넷플릭스 등에서 과세 받는 것은 좋다”면서 “28㎓ 5G 기지국 (1만 5000대) 의무 구축은 올해 말까지인데 살펴보고 내년에 정책 방향을 말하겠다. 28㎓ 공동 구축은 기술적으로 좋은 방식이 아니어서 살펴보고 있지 않다”고 답변했다.

방송통신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등과 경쟁하는 OTT 관할권 논란에도 “ICT 관련 산업이기 때문에 주무부처는 꼭 필요하다. 앞으로도 디지털 미디어 관련 산업은 과기부 주체로 업계, 부처들을 이끄는 방향으로 산업 진흥을 하는 게 맞다”고 소신을 밝혔다.

오는 10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하고, 4차례 추가 발사를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다만, 누리호 개량사업은 도전성 부족, 한미 미사일지침 종료에 따른 결과가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을 이유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지 못해 예타에 재도전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주52시간, 탈원전 등은 정부 입장 반복

하지만 그는 ICT 업계와 맞지 않는 주52시간 의무화나 탈원전 정책 등에 대해서는 정부 입장을 반복했다.

임 장관은 “주 52시간 도입이 ICT 업계로선 쉽지 않은 일이지만 나아가야 할 방향이기 때문에 일과 가정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업계가 경쟁력을 잃지 않도록 지원하겠다”고 답했다.

탈원전 정책의 유효성에 대해서도 기조에 변화가 없다고 했다. 임 장관은 “당장 탈원전하자는 개념이 아니고, 앞으로 60년 동안 원자력 의존도 낮추자는 것”이라며 “좁은 국토 면적에 집중적으로 대형원전이 건설돼 (한반도가)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원전 의존도를 줄이는 한편 기존에 보유한 기술이 필요한 해외 국가에는 수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