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바, 8750억원 통 큰 투자…"인도 AI 전력 수요 겨냥"

양지윤 기자I 2024.06.12 17:20:41

도시바 부회장 "전력용 반도체·인프라 투자에 집중"
"생산 능력 확대에 3년 뒤 영업익 2배 증가 목표"
생성형 AI 확산에 데이터 수요 급증
인도, 2030년까지 전력 수요, 공급 초과 전망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일본 도시바가 인도 송배전 시장을 겨냥해 전략 반도체 분야에 총 1000억엔(약 8750억원) 규모의 통 큰 투자에 나섰다.

(사진=AFP)
12일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은 도시바가 오는 2027년까지 3년간 반도체 사업에 1000억엔 규모 설비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전기차와 전력 설비에 사용하는 전력 반도체 생산 라인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케아 코지 도시바 부회장은 “회사 전체 투자 총액은 지난 3년과 비슷한 수준을 예상하지만, 성장하는 사업에 투자를 집중할 것”이라며 “전력용 반도체와 에너지, 인프라 분야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번 투자의 핵심은 전력용 반도체다. 도시바는 이시카와현에 위치한 생산 자회사 가가토시바 일렉트로닉스에 신규 생산라인을 구축하고, 효고현 히메지 반도체 공장과 태국 공장의 후공정 설비도 증설할 계획이다.

도시바가 전력용 반도체에 대규모 투자금을 투입키로 한 까닭은 생성형 인공지능(AI) 보급에 따라 데이터센터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력 소비량이 급증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번 투자를 통해 2027년 3월기 에너지와 인프라 사업 영업이익을 전년 대비 2배인 1600억엔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전력 제어 분야 투자에도 힘을 싣는다. 인도 남부 하이데라바드에 있는 공장과 가와사키시의 하마가와사키 공장에 3년 간 약 200억엔을 투자, 변압기와 전력 개폐기 등의 생산을 강화한다. 생성형 AI의 보급으로 데이터센터용 변압기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인도는 2030년까지 전력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상태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재생에너지 수요도 증가해 발전소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송배전망 정비가 진행 중이다.

지난 2015년 회계 부정 문제와 2017년 미국 원자력발전소 자회사 웨스팅하우스의 거액 손실 등으로 위기에 내몰렸던 도시바는 경영 재건을 위해 지난해 일본 투자펀드인 일본산업파트너즈(JIP)에 인수됐다. JIP는 작년 12월 도시바를 자진 상장 폐지했으며 기업 가치를 올려 재상장하기 위해 사업 재편 등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