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당장 다음달 국제행사인데”…모로코 관광업 타격 불가피

이명철 기자I 2023.09.11 16:22:27

모로코 120년만의 강진②
미 USGS “경제적 피해 최대 100억달러”
천년고도 마라케시, 관광 재개됐지만 단기 영향 예상
지진 피해 복구 비용 지출, 국가 재정건전성에 압박

[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모로코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으로 막대한 경제·문화적 손실이 예상된다. 관광산업이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특성상 이번 지진 타격이 불가피하고 천년고도로 유명한 마라케시에서는 문화유산의 피해도 발생했다. 다음달 이곳에서 열릴 대규모 국제행사 개최 여부도 불확실성에 휩싸였다.

규모 6.8 지진이 발생한 모로코 중부 지역의 한 마을에서 10일(현지시간) 건물들이 무너져 있다. (사진=AFP)


모로코 중부에 위치한 마라케시는 지난 8일(현지시간) 지진이 발생한 지점에서 불과 약 70km 떨어진 곳에 위치했다. 마라케시의 옛 시가지 메디나 전체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는 등 이곳은 모로코 관광산업의 핵심이다.

이번 지진으로 관광산업에서의 피해는 불가피하다. 모로코에서 관광산업은 농업·무역업과 함께 경제를 지탱하는 주요 축이다. 코로나19 사태 전인 2019년 모로코의 관광산업은 국내총생산(GDP)의 7.1%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지난해 모로코를 방문한 관광객은 1090만명에 달한다.

지진이 발생한 이후 마라케시에서는 일부 여행객들이 관광을 재개했지만 단기적인 영향은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모로코의 싱크탱크인 MIPA연구소의 라시드 아우라즈 연구 책임자는 10일 블룸버그통신에 “이번 지진이 모로코 경제 전체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겠지만 지역 경제, 특히 마라케시 외곽에서 관광업으로 살아가는 많은 마을과 도시에 타격을 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당장 다음달 마라케시에서 열릴 예정인 국제행사도 불확실성에 휩싸였다. 다음달 9~15일에는 이곳에서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11~13일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가 예정됐다. 당초 2021년 예정됐으나 코로나19 여파로 2년 연기된 행사다.

블룸버그는 “반세기만에 아프리카 대륙에서 처음 모로코가 행사를 개최해 수천명의 관광객이 마라케시를 방문할 예정이었다”며 “마라케시 대부분은 지진 피해를 입진 않았지만 앞으로 계획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알려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관광산업의 타격과 함께 재건을 위한 비용 지출은 모로코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으로 경제 측면에서 최소 10억달러(약 1조3000억원)에서 최대 100억달러(약 13조3000억원)의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100억달러는 모로코 연간 GDP(2021년 기준)의 8%에 달하는 수준이다.

모로코는 그동안 국가 재정 건전성 노력을 추진했던 국가다. 지진이 발생하기 전에 당국은 올해 경제 성장률을 3.4%, 재정적자는 GDP의 4.5%에서 내년 4%로 줄일 계획이었다. 하지만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한 대규모 재건축이 이뤄지면 재정 압박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중동연구소의 경제학자 라시드 아우라즈는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모로코 경제 전체가 영향을 받지는 않아도 지진 피해 지역의 지역 경제는 완전히 붕괴됐다”며 “여진에 대한 두려움은 몇 주 동안 지속되지만 이 지역이 회복되는 데는 몇 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모로코 대지진

- "아무도 도와주지 않아요"…모로코인들 정부 늑장에 절망 - 정부, 지진 피해 모로코에 27억원 지원…긴급구호대 파견 - 모로코 사망자 2800명 넘어…'골든타임' 72시간 다가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