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김금희 "딩크족, 일종의 사회적 소수자···가족 다양성, 제도적 지원 필요"[ESF 2023]

유은실 기자I 2023.06.21 17:59:13

김금희 작가 제14회 이데일리 전략포럼 제너레이션 포럼 참석
"결함 있다는 사회적 시선 여전···노년 우려도 존재"
"가족은 보호·안정이 보장되는 곳···새로운 가족 다룰것"

[이데일리 유은실 권효중 김영은 기자] “아이를 낳지 않고 사는 사람들은 일종의 소수자다. 능동적으로 선택한 삶이지만 ‘아이를 낳지 않았다’는 사회의 시선을 끊임없이 인식하면서 살아야 한다.”

[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김금희 작가가 21일 서울 중구 장충동 서울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4회 이데일리 전략포럼’에서 제너레이션 포럼1 위기의 가족 ‘더 패밀리’ 주제로 발언을 하고 있다. 21~22일 양일간 열리는 ‘제14회 이데일리 전략포럼’은 ‘인구절벽 넘어 지속가능한 미래로’를 주제로 저출산·고령화의 늪을 뛰어넘기 위한 미래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금희 작가는 21일 서울 중구 장충동 서울신라호텔에서 ‘인구절벽 넘어, 지속가능한 미래로’를 주제로 열린 ‘제14회 이데일리 전략포럼’의 ‘제너레이션 포럼1’ 토론에서 딩크족(DINK·Double Income No Kids·자녀를 낳지 않는 부부)인 자신의 경험을 밝히며 이 같이 말했다.

‘너무 한낮의 연애’, ‘경애의 마음’ 등을 펴낸 김금희 작가는 이 자리에서 딩크족의 삶을 선택한 배경에 대해 진솔하게 말했다. 그는 “소설가로서 경력 단절이 염려되기도 했고 처음부터 아이 낳는 삶에 대해 큰 관심이 없었다”며 “하지만 딩크족으로 살아가는 삶은 결코 쉽지 않다. 결함이 있다는 사회적 시선도 있고 물론 노년에 대한 우려도 있다”고 설명했다.

김 작가는 다양한 가족 형태를 인정하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했다. 사람들이 함께하는 방식이 빠르게 변하고 있지만 이를 지원하는 법률·제도는 제자리 걸음이라는 것이다. 다양성을 인정하는 방법에 대해선 ‘타인의 삶에 불필요한 적의를 드러내지 않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김 작가는 “(개인적 차원에선) 가족이라는 개념을 자기 자신이 조합하고 결합할 수 있는 사회가 된 것 같다”며 “그렇지만 제도는 아직 제대로 뒷받침이 되지 않고 있고 법률적 지원도 오히려 도태되는 모습이라 이런 점에서 문제가 있다고 느낀다”고 말했다.

김 작가는 젊은 세대를 이전 세대와 다른 형태로 ‘세계적’이며 ‘운동적’인 세대라고 봤다. 그는 “지금의 젊은 세대가 추구하는 가치들을 살펴보면 전 세대보다 시민 감각이 확장됐다고 본다”며 “과거 세대가 민주화라는 숙제를 안고 있었다면 현 세대는 환경, 공정 등 세계적인 가치에 관심을 갖는다”고 했다.

이어 “또 젊은 세대가 굉장히 운동적이라고 생각한다”며 “다만 운동의 장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옮겨 갔을 뿐”이라고 덧붙였다.

김 작가는 자신의 소설 속에서 가족에 대한 개념을 재정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작가는 “제 소설 속의 가족의 형태는 보편적인 가족과는 다른데 이는 제 안에 내면적 문제와 경험과 연관 있다”며 “피로 연결된 사람들 안에서 비극적인 일이 많이 발생하는 만큼 가족은 보호와 안정이 보장되는 곳으로 정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제14회 이데일리 전략포럼

- “베이비붐 은퇴 대비 고령자 정책 시급…정년 연장 대화로 풀어야”[ESF 2023] - "'노인 딱지' 안돼…경험·구매력 갖춘 '고급 소비자'"[ESF 2023] - "뇌졸중 증상 테스트 '이웃손발시선' 기억하자"[ESF 2023]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