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마켓인]하반기 CP 정평 시즌…PF 업종 "나 떨고 있니"

박미경 기자I 2023.12.11 19:52:10

신평3사 하반기 CP 정기평정…11~12월 집중 조정
지난 한 달간 12개사 등급 및 등급전망 하향
“건설업종 등급 추가 조정 이뤄질 것”

[이데일리 마켓in 박미경 기자]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부담을 안고 있는 업종들을 위주로 신용등급 하향 조정이 일고 있다. 연말 신용평가사 정기평가 시즌과 맞물려 관련 업종의 경우 추가 하향 조정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신용평가 3사(한국기업평가·한국신용평가·NICE신용평가)는 하반기 기업어음(CP) 정기평정과 3분기 기업실적을 바탕으로 요주의 업종의 등급조정을 진행 중이다. CP 정기평가는 반기 실적을 기준으로 진행돼 연말까지 마무리되는데 특히 11~12월에 집중적으로 조정이 일어난다.

국내 신용평가 3사가 지난 11월 한 달간 채권의 신용등급이나 등급전망을 낮춘 기업 수는 총 12개사로 집계됐다. 이 중 절반에 가까운 5건은 하향 조정 사유에 부동산PF 리스크 확대가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형 증권사들이 연이어 등급전망에서 하향 조정을 겪었다. 한기평은 하이투자증권(A+)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 전망을 기존 ‘긍정적’에서 ‘안정적’으로, 다올투자증권(A)은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내렸다.

실제로 지난 9월 말 기준 하이투자증권의 PF 익스포저(위험 노출액) 규모는 자기자본의 70.1% 수준인 9801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중 브릿지론 비중은 57%이며, 변제순위상 중·후순위 비중은 73% 수준이다.

한기평은 “부동산 PF 익스포저에 대해 적극적으로 충당금을 적립한 점은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긍정적이지만, PF 시장 침체 장기화로 부실 익스포저 확대가 예상되는 점을 감안할 때 자산건전성 추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했다.

다올투자증권은 부동산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브릿지론을 중심으로 대손비용이 확대되고 있다.

한신평과 NICE신평은 캐피탈사인 M캐피탈(엠캐피탈·A-)의 등급전망을 ‘긍정적’에서 ‘안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시중금리 상승과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조달 비용, 대손비용 증가로 인해 캐피탈 산업 전반의 수익성 하락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면서다.

건설사 중에서는 신세계건설(A)의 등급전망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매겨졌다. 지난 2021년 말까지만 해도 무차입 기조를 유지해 왔으나 현금창출력 저하와 미분양 주택 사업장 관련 공사비 회수 지연 등의 이유로 신세계건설의 지난 9월 말 별도기준 순차입금은 2374억원으로 크게 확대됐다.

한신평은 “단기간 내 현금창출력 회복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영업자산 회수의 불확실성 등을 감안할 때 추가적인 재무부담 확대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PF 관련 업종의 추가 등급 및 등급전망 하향 조정이 일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지금까지 나온 레이팅 액션 경향을 감안하면 등급전망이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회사들 중에서 실적 추세가 등급전망 방향성대로 이어지고 있는 회사의 경우 실제 등급 조정이 단행될 가능성이 높다”며 “따라서 건설업종 등 부동산 PF 관련 업종 내 등급전망 ‘부정적’ 회사 중에서 실적부진 내지 PF부담이 과중한 상태가 이어지고 있는 회사는 실제 등급조정이 단행되는 경우가 추가적으로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자료=한국투자증권)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