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북적이는 양평 부동산…문의 쇄도에 "바쁘다 바빠"

김아름 기자I 2023.07.11 17:21:14

[양평고속도로 논란]
시세·위치 등 문의 급증해…공인중개사들 '어리둥절'
'강하IC 신설' 5년전부터 투자자 사이에서 소문 돌아
국토부 "예타 후 양평 주민 요구 수렴해 대안 만들어"

[이데일리 김아름 기자] “평소보다 손님이 많습니다. 전화 문의도 많이 와서 바쁘네요.”

11일 양평 강하면의 A공인 관계자는 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서울양평고속도로 이슈가 불거지면서 오히려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시세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 논란이 되고 있는 곳 위치는 어디인지 문의가 가장 많아 고속도로 전면백지화 논란을 뒤편으로 하고 아이러니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고 했다. 이번 사태로 양평에 대해 잘 모르던 사람들도 널리 알게 됐고 장기적으로는 개발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서울-양평 고속도로 재개 범군민 대책위원회 출정식’이 10일 오전 경기도 양평군청 앞에서 열린 가운데 시민들이 현수막으로 지나가고 있다.
그는 “전에는 서울양평고속도로가 생긴다는 사실이 외지인에게는 잘 안 알려졌었다”며 “요즘 정치권과 언론 등에 구체적으로 나오다 보니 (고속도로 건설이) 언젠가는 될 것이라는 판단이 투자자 사이에 더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역민에게는 ‘송파양평고속도로’로 잘 알려진 서울양평고속도로 사업은 그동안 양평군민에게는 기정사실로 돼 있었다. 특히 기존에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되기 전부터 양평군민의 숙원 사업이었다는 것이다.

강하면의 B공인중개소 대표는 “원래 사무실이 서종이었는데 이미 예전부터 강하 쪽에 나들목(IC)이 생긴다고 소문이 돌아서 공인중개사무소도 이쪽으로 옮겼다. 사무실을 옮긴 게 5년 전이다”며 “서종에 IC가 생겨서 사무소가 잘되기에 새로운 IC가 들어서는 곳으로 옮기게 된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강하IC가 없는 것은 백해무익이다. 풍경도 가리고 IC가 있어야 좋아지는데 그게 확정이 됐다고 들었다”고 덧붙였다.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특히 예비타당성 조사 때는 구체적인 노선 설명도 없었다는 지적이다. 그는 “예타안 노선을 보고는 오히려 뭔가 잘못 표기된 게 아닌가 생각했다”며 “이미 6~7년 전 강하IC가 확정된 것으로 알았고 이후 변동사항이 있을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제시한 대안이 갑자기 튀어나왔다는 지적을 완전히 뒤집는 현지 부동산 관계자의 설명이다. 실제 국토부가 제시한 대안은 애초 2018년도에 ‘시흥-송파-양평’까지 이르는 민자사업 때 그림이 그려진 것으로 전해진다.

국토부 관계자는 “당시 시흥-송파-양평 고속도로의 민자 제안이 있었는데 송파에서 양평까지는 국가 재정사업이 확정돼 시흥-송파 구간만 민자사업으로 접수된 것이다”며 “예타는 내부에서 검토하지만 그때는 양평 주민의 요구사항을 수렴할 기회가 없었고 예타 결과가 발표되고 나서 2021년 4~5월 주민간담회도 하고 여기 IC가 없는데 강하IC를 설치해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지적이 나와서 반영한 것이 대안노선이었다”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