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가보안법에 걸릴라"…美 빅테크, 홍콩서 AI 서비스 제한

김겨레 기자I 2023.06.12 17:16:03

구글·MS 등 홍콩서 AI 챗봇 제한
애플은 홍콩서 美일부 사이트 차단
WSJ "美빅테크, 홍콩을 中도시 중 하나로 취급"

[홍콩=이데일리 김겨레 기자]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홍콩에서 인공지능(AI) 챗봇 서비스를 차단하고 있다. 홍콩의 온라인 검열이 중국 본토와 비슷한 수준으로 강화되면서다.

중국 오성홍기(위)와 홍콩기. (사진=AFP)


1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 등이 최근 몇 달 동안 홍콩에서 AI 챗봇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제한했다고 보도했다.

챗GPT를 운영하는 오픈AI도 홍콩을 중국 본토, 북한, 시리아, 이란과 나란히 ‘제한 국가’ 목록에 넣었다. 홍콩에선 가상사설망(VPN)을 이용해야 이들 챗봇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이들 기업은 홍콩에서 챗봇 서비스를 제한한 이유를 밝히지 않았으나, AI 챗봇이 중국과 홍콩 정부에 대한 비판을 쏟아낼 경우 2020년 도입된 홍콩 국가보안법을 위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최근 미국 기업들은 홍콩에서 자체 검열에 나섰다. 애플은 홍콩에서 중국 텐센트와 함께 ‘의심스러운’ 웹사이트를 걸러내고 있다. 텐센트가 홍콩에서 접속을 막은 웹사이트에는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와 코딩 커뮤니티 깃허브, 소셜미디어 마스토돈 등이 포함됐다. 디즈니는 중국의 강제 노동 수용소와 1989년 톈안먼 민주화 시위를 언급한 심슨 가족 에피소드 두 편을 홍콩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에서 뺐다.

홍콩 정부가 나서 검열을 강화하기도 했다. 홍콩 정부는 민주화 운동 시위 현장에서 널리 불린 ‘홍콩에 영광을(Glory to Hong Kong)’이란 노래의 온라인 유포를 차단해달라고 법원에 청구했다. 제재 대상에는 노래가 담긴 유튜브 동영상 32개가 포함됐다.

홍콩 고등법원이 이 노래의 온라인상 유포를 금지하는 결정을 내리면 미국 빅테크 기업에 대한 압박이 더욱 노골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메타에서 중화권 공공정책 책임자로 근무했던 조지 첸은 “유튜브에서 민주화 노래를 검열하려는 움직임은 향후 미국 기술 기업에 대한 또 다른 제재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간 홍콩 정부는 구글에 ‘홍콩 국가’를 검색하면 반정부 시위 노래가 상단에 뜨는 결과를 수정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WSJ은 “홍콩의 인터넷 환경이 중국의 ‘만리방화벽’과 비슷해지고 있다”며 “미국 기술 기업들이 홍콩을 중국 본토의 도시 가운데 하나로 취급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