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ESF 2020]김창순 "미혼청년도 지원해야 인구문제 해결 가능"

전재욱 기자I 2020.06.10 15:37:46

인구보건복지협회장, 이데일리 전략포럼 참석
"기혼여성, 임신한 여성만 지원해선 한계"
"출산정책, 방법·프레임 바꿔야..청년·여성 공감 필요"

[이데일리 전재욱 기자 김나경 인턴기자] 김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회장이 저출산 문제에 대해 “단편적인 정책이 아니라 포괄적이고 총체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며 ‘프레임의 전환’을 강조했다.

[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김창순 인구보건복지협회장이 10일 오후 서울 중구 장충동 서울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1회 이데일리 전략포럼’에서 ‘인구변화, 기회도 있다’를 주제로 발언하고 있다.
김 협회장은 10일 서울 중구 서울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1회 이데일리 전략포럼 ‘인구변화, 기회도 있다’ 세미나에 나와 “새로운 프레임을 만들어서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총체적인 노력을 기울일 때”라며 “청년과 여성의 주관심이 어디있는가를 살펴 삶의 질에 초점을 맞춘 정책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 협회장은 서울대에서 학·석사를 거쳐 연세대에서 보건학 박사를 받았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여성가족부 차관을 역임했으며, 현재 전주대 명예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김 협회장은 인구 문제를 위기에서 기회로 바꾸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 “청년과 여성들이 자율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며 “이제까지의 방법과 프레임을 바꿔야 한다”고 답했다.

김 회장은 특히 정책의 ‘타깃’을 정확히 설정, 미래세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기혼 여성이나 임신한 여성들에게 출산·양육을 지원해왔지만 미혼 청년세대에는 상대적으로 정책 비중이 적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그는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며 ‘국가와 민간의 공조체제’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김 회장은 민관 공조체제의 구체적인 방향에 대해서는 “정부가 고령화·주거 및 교육문제 등 생활수준 전반의 향상에 관련된 제도를 시행하고 민간협회 등은 가족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거시적인 문제를 다루고 민간단체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에 힘써야 한다는 방향 제안이다.

아울러 그는 “저출생 문제에 대해 청년이 직접 공유하고 의논하는 가운데서 사회적 분위기가 변화할 수 있다”며 “잘못된 것을 성찰하고 새로운 프레임으로 나아간다면 발전의 모멘텀을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