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전국 시·군·구 10곳 중 4곳 소멸 위기…경북 의성군이 가장 높아

박철근 기자I 2018.08.13 12:00:00

‘저출산 고령화’ 따른 인구감소 원인…228개 시군구 중 89곳 소멸 위험
고용정보원 “소멸위험지역 광역대도시권역으로 확산”

[이데일리 박철근 기자] 전국 시군구 10곳 중 4곳은 저출산 고령화 영향으로 소멸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전국에서 소멸위험도가 가장 높은 기초자치단체는 경북 의성군으로 조사됐다.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이 발표한 ‘한국의 지방소멸 201’에 따르면 전국 228개 시군구 중에서 소멸위험지수가 0.5 이하를 기록한 곳은 39%인 89곳으로 조사됐다. ‘소멸위험지수’란 한 지역의 가임기(20~39세 여성) 인구수를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을 말한다.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으로 이 연구위원은 분류했다. 이 위원은 “가임여성인구 수가 고령자 수의 절반이 안 되는 지역은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감소 탓에 공동체가 붕괴돼 사라질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자료= 한국고용정보원)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지역은 2013년 75개(32.9%)에서 2018년 89개(39%)로 14개 증가했다.

89개 시군구 가운데 강원 철원군(0.480), 부산 중구(0.491), 경북 경주시(0.496)와 김천시(0.496)는 올해 새롭게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경남 사천시(0.507)와 전북 완주군(0.509) 등도 연내에 소멸위험지수가 0.5미만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연구위원은 “지방소멸의 바람이 농어촌 낙후지역을 넘어 지방 대도시권역 및 공공기관 이전이 진행되는 거점지역까지 확산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멸위험이 가장 높은 시군구로는 경북 의성군(0.151)이 기록했으며 △전남 고흥군(0.161) △경남 합천군(0.171) △경남 남해군(0.179) △경북 군위군(0.169) △경북 청송군(0.184) △경북 영양군(0.187) △경북 청도군(0.194) △경북 봉화군(0.197) △경북 영덕군(0.198) △전남 신안군(0.198) 등이 뒤를 이었다.

전국 3463개 읍면동 가운데 소멸 위험에 처한 곳도 2013년 1229개(35.5%)에서 2018년 1503개(43.4%)로 5년새 274개가 증가했다.

이 연구위원은 “최근의 소멸위험지역은 도청 소재지, 산업도시, 광역대도시로 확산되는 양상”이라며 “최근 지방 제조업의 위기는 지역의 산업기반을 붕괴시키면서 지방의 인구유출을 더욱 가속화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균형발전 정책이 물리적 인프라 중심의 혁신뿐만 아니라 교육, 교통, 주거, 문화 등과 관련된 생활양식의 혁신이 이뤄질 수 있도록 획기적인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