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오렌지 주스도 못사먹겠네"…집으려던 손 멈칫

방성훈 기자I 2024.05.29 16:29:00

오렌지 공급 3년 연속↓…주스 원액값 1년새 2배 급등
브라질·미국서 악천후·질병에 작황 악화…생산량 '뚝'
"자연산 주스 유지하려면 100% 플로리다산 포기해야"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오렌지 가격이 1년 새 두 배로 뛰면서 주스 가격도 사상 최고가로 치솟고 있다. 다급해진 제조업체들은 만다린, 귤 등 대체과일을 혼합한 주스를 내놓는 등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세계 1·2위 오렌지 생산국인 브라질과 미국에서 이상기후 및 질병으로 작황이 악화함에 따라 오렌지 주스 원액 가격이 급등해서다.

미국 ‘플로리다스 내추럴’은 다양한 국가·지역의 원액을 혼합해 오렌지 주스를 생산하기 시작한 이후 수십년 간 유지해 온 ‘100% 프리미엄 플로리다산 오렌지 주스’ 표기에서 ‘플로리다산’ 단어를 삭제했다. (사진=AFP)


2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미국 뉴욕 인터컨티넨탈거래소(IE)에서 농축 오렌지 주스 선물 가격은 이날 파운드당 4.92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고가로 1년 전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이 뛰었다. 국제과채주스협회(IFU)의 키스 쿨스 회장은 “과거 대규모 한파나 허리케인이 발생했을 때에도 이런 가격은 본 적이 없다”며 “이는 큰 위기다. 소비자에게 타격을 주고 글로벌 오렌지 주스 산업을 근본적으로 재편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오렌지 공급량이 대폭 줄어들면서 가격을 끌어올렸다. 세계 최대 오렌지 생산국인 브라질에서는 평균보다 높은 기온 및 평균 이하의 강우량, 감귤 녹화병(진딧물류 곤충이 수액을 빨아먹어 발생하는 불치 식물병) 등으로 수확량이 급감했다. 감귤 녹화병을 치료하는 유일한 방법은 나무를 잘라내는 것이어서 공급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올해 브라질의 오렌지 생산량은 2억 3200만 박스로, 전년보다 4분의 1 감소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상기후로 품질 역시 저하될 것으로 예측된다. 네덜란드 라보방크의 안드레아스 파딜라 분석가는 “강우량이 줄었는데 브라질 농장 중 관개 시설을 갖춘 곳은 3분의 1 미만에 그친다. 또 남동부 주요 재배 지역에선 과수원의 약 40%가 감귤 녹화병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2위 생산국인 미국에서도 주요 재배 지역인 플로리다에서 2022년 말부터 허리케인과 한파가 지속 발생하며 상당수 과수원이 황폐화했다. 미국 오렌지 공급량의 80% 이상을 담당하는 플로리다의 생산량은 현재 1700만 박스 수준에 그친다. 미국에서 감귤 녹화병이 발견되기 이전인 20년 전(2억 4000만 박스)와 비교하면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원액 가격 상승은 오렌지 주스 소비자 가격도 인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오렌지 주스에 대한 수요는 줄어들지 않고 있어서다. 일반적으로 오렌지 주스 제조업체는 지난 시즌의 냉동 오렌지 주스 재고(유통기한 2년)를 최신 원액과 혼합하는 방식으로 계절마다 맛의 차이를 극복한다. 하지만 최근 3년 동안 내리 공급이 감소해 재고가 고갈됐다.

이에 대다수 제조업체들이 여러 국가에서 생산된 오렌지를 혼합하거나, 만다린, 귤 등 대체 과일과 섞어 오렌지 주스를 만들기 시작했다. 엔화 약세로 수입비용 상승까지 겹친 일본에선 오렌지 주스 원액을 쓰는 다양한 음료 판매를 중단하거나 아예 감귤 주스로 오렌지 주스를 대체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일본의 슈퍼마켓 체인 세븐일레븐을 소유한 세븐앤아이 홀딩스는 오렌지 주스를 대체할 수 있는 감귤 주스를 새로 출시했다. 수십년 동안 ‘100% 프리미엄 플로리다산 오렌지 주스’를 판매해 온 미국 ‘플로리다스 내추럴’(Florida‘s Natural)은 2022년 5월부터 멕시코와 브라질산 오렌지 주스 원액을 혼합하고, 플로리다산이라는 단어를 삭제했다.

쿨스 회장은 “자연산이라는 이미지를 건드리지 않고 오렌지 주스를 만들려면 다른 종류의 감귤류 과일을 사용하는 것이 유일한 장기 옵션”이라며 “오렌지 이외 감귤류를 포함할 수 있도록 규제 절차를 마련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용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음료 용기 크기를 줄이는 업체도 나왔다. 영국 퓨리티 소프트 드링크스의 세라 볼드윈 최고경영자(CEO)는 “격동적이고 불확실한 요인으로 우리는 음료 가격과 크기를 재검토해야 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